[여론조사] 北 연평 도발 원인… 20∼40대 “현정권 탓”, 50∼60대 “햇볕 실패” 많아

입력 2010-12-09 21:48


북한의 연평도 도발의 책임을 묻는 질문에 ‘현 정권의 대북 강경정책 때문’이라는 답변이 46.4%로 ‘전 정권의 햇볕정책 실패(39.9%)’보다 6.5% 포인트 높게 나왔다. 현 정권 책임이라는 의견은 20∼40대, 수도권, 고학력층, 화이트칼라와 학생층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됐다.

무엇보다 연령대별 차이가 뚜렷했다. 20대에선 현 정권 책임이라는 응답이 61.3%로 지난 정권 책임이라는 답변(27.6%)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30·40대도 현 정권 책임이란 응답률이 10∼20% 포인트 정도 높게 나왔다. 50대부턴 역전됐다. 지난 정권(53.3%)이 현 정권(34.2%)을 앞질렀고 60대에선 그 격차가 59.2%대 34.2%으로 더 벌어졌다.

대학 재학 이상 고학력층에서 현 정권 책임이라는 답변이 53.2%로 지난 정권(34.2%)보다 높았다. 화이트칼라와 학생층에서도 현 정권 탓이란 답변이 절반을 넘었다. 주부와 자영업자들 사이에선 지난 정권의 햇볕정책 탓이라는 응답이 조금 더 많았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은 현 정권 탓이 높았고 대구·경북과 부산·경남 등 영남권에서는 지난 정권 탓이란 답변이 더 많았다.

진보층은 현 정권 탓이 64.9%, 보수층은 전 정권 책임이란 답변이 62.7%로 정치 성향에 따라 평가가 확연히 달랐다. 중도층에서 현 정권(45.5%)이 지난 정권(37.2%)보다 조금 더 높게 나왔다.

북한의 추가 도발시 ‘확산을 각오하고 도발을 못하게 강하게 응징해야 한다’는 응답이 57.4%로 절반을 넘었다. 41.1%는 ‘확산되지 않는 범위에서 교전규칙을 수정해 강경 대응해야 한다’고 답했다.

GH코리아 강민구 연구원은 “연평도 무력 도발로 북한에 강경 대응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진 상황에서 국민들이 어디까지 감수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이었다”며 “전쟁을 감수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특히 노인과 보수층에서 높았다”고 말했다. ‘확산 각오, 강경 응징’ 답변은 보수층 69.9%, 60대 이상에서 70.9%, 중졸 이하 75.2%였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