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통합 발목잡는 세대갈등] 이성권 靑 시민사회비서관 “세대간 공통분모 만들 프로그램 개발중”
입력 2010-12-09 17:16
세대갈등이 위험수위를 넘으면 사회 통합에 엄청난 장애물이 될 수 있다. 정부와 시민사회단체들이 세대갈등 완화에 주력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성권 청와대 시민사회비서관은 9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나라가 사회갈등으로 지출하는 경제적 비용이 연 300조원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면서 “국내총생산(GDP)의 27%에 이르는 엄청난 금액”이라고 말했다. 이 비서관은 “빈부갈등과 이념갈등이 가장 심각하지만 고령화시대 진입 등 인구·경제적 변화에 따라 세대갈등이 시민사회의 중요한 갈등 요소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 비서관은 세대갈등의 원인으로 역사적·문화적 경험 차이와 ‘디지털 디바이드’로 표현되는 정보격차를 들었다. 그는 “청년세대는 한국전쟁, 군부독재, 경제개발 등 근대화 세대의 경험을 공유하지 못했고 노·장년층은 청년층의 자유주의와 개인주의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정보수용 방식에 변화가 일면서 세대갈등이 야기되는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비서관은 세대갈등이 이념갈등과 결합하는 현상을 우리 사회의 특징으로 꼽았다. 그는 “선거나 대북문제 등 정치적 이슈에서 이념갈등이 세대갈등과 중첩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매우 위험하다”며 “이념갈등과 세대갈등이 결합하면 다른 세대를 적대시하는 경향까지 발생해 사회통합은 물론 국가 운영에 심각한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비서관은 정치문제를 둘러싸고 발생한 세대갈등이 경제·사회·문화 분야로 확산되는 점도 지적했다. 그는 “국민연금, 국민건강보험 제도개편 같은 정부정책과 임금피크제 도입, 경력직원 채용확대 등 기업의 고용·노무 정책에서도 세대갈등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이 비서관은 “세계에서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우리 현실을 볼 때 세대갈등을 해소할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며 “사회통합위원회와 청와대 사회통합수석실을 비롯해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등 여러 부처가 정책적 대안을 생산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세대갈등은 정치·행정적으로만 풀 수 없는 문제이므로 기업과 민간영역, 시민사회, 개별 가정의 도움에 기초한 ‘민·관 협치’가 더욱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세대 간 다름을 부각하기 보다는 최소한의 공통분모를 만들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라면서 “정치권도 세대갈등을 부추기는 행위를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윤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