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에 AI까지… 지자체 방역 ‘비상’

입력 2010-12-08 18:34

경북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에 이어 전북 익산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항원(H5N1형)이 검출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 방역 비상이 걸렸다.

전북 익산시는 8일 방역대책본부를 긴급 설치하고, AI가 발병한 석탄동 만경강변을 중심으로 AI 차단 방역에 나섰다. 발병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10㎞ 이내를 관리지역으로 지정해 30일간 닭과 오리 등 가금류의 이동을 제한했다. 관리지역에는 187농가가 324만6000여마리의 닭과 오리를 사육하고 있다.

시는 AI의 확산을 막기 위해 만경강 부근과 철새도래지에 고성능 방역 차량 3대를 투입해 집중소독하고 이동통제초소 2곳을 설치했다.

충남도는 이날 도청에서 축산부서 긴급회의를 열고 AI유입을 막기 위한 방역대책을 수립했다. 도는 철새 도래지인 서천 금강하구와 부여 웅포대교, 논산 강경천 등에 대한 방역을 강화하고 주변 가금류 농장에 대한 차량 등의 출입을 철저하게 차단하기로 했다.

아산시 탕정면과 논산시 부적면 등 과거 AI 발병을 경험한 지역에는 철새들의 접근을 막기 위해 외부 차단시설을 설치하기로 했다. 사육농가에는 가금류가 알을 5% 이상 덜 낳거나 폐사할 경우 즉시 관할 시·군 및 가축위생연구소에 통보하도록 했다.

경북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 사태는 의심신고가 잇따라 접수되는 등 좀처럼 진정되지 않고 있다. 경북 경주시 강동면 유금리의 한우농가 1곳에서 소가 의심증상을 나타냈고, 영덕에서도 의심신고가 추가로 접수됐다.

올해 모두 3차례 구제역이 발생하면서 가축 피해규모는 17여만마리로 늘어나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 7일 의심신고된 고령군의 한우농가 검사에서 음성 판정이 나와 방역당국이 한숨을 돌렸으나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정부가 구제역 추가 확산시 방역작업에 타 시·도 공무원을 투입하기로 결정, 지방자치단체들이 반발하고 있다. 국무총리실은 지난 5일 국무차장 주재로 구제역 방역 관계부처 대책회의를 열고, 추가 확산 시 방역 작업에 타 지역 공무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농림수산식품부는 경기도와 충남·북에 각각 80여명씩 인력지원 계획을 마련, 경북도가 요청하면 즉시 현장에 투입하도록 지시했다.

농식품부는 “방역만 철저히 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인 반면 해당 지자체들은 “구제역을 전국으로 확산하도록 하는 위험한 조치”라고 지원 불가 방침을 세웠다.

군산·대전=김용권 정재학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