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신삼국지-북·중 경협 최일선 ‘동북3성’] “한반도 안정이 절대적 요소”

입력 2010-12-08 16:12


옌볜대 진화린 원장

“창지투 개방선도구 등 중국의 동북지역 발전은 동해 출항이 전제조건이다. 남북한을 비롯한 두만강 인근 국가의 협력이 없으면 실현이 어렵다.”

진화린(金華林·사진) 옌볜대 경제관리학원 원장은 지난 1일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동북아 협력과 한반도 정세 안정이 중국 동북지역 진흥에 절대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진 원장은 “중국에선 북한 나진·선봉을 통한 동해 출항을 위해 도로 및 철도 보수 등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면서 “북한도 개방에 적극 나서는 등 북·중 간 협력은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두 차례 중국 방문 이후 동북3성과 북한의 경협 움직임이 급진전됐다”면서 “최근 연평도 사건 등으로 다소 지연되는 양상이 보이지만 점차 가시적 성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그러나 “북·중 간 협력이 이뤄져도 한반도 정세가 불안정하고 한국의 협력이 뒤따르지 않으면 가시적 성과를 이루긴 쉽지 않다”고 전망했다.

그는 중국 기업이 아직 나선시 등에 대규모 투자를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북한의 투자 여건이 아직 성숙되지 못했기 때문”이라면서 “중국도 퍼주기는 안 한다”고 잘라 말했다. 기초시설, 전력 등은 경협 차원에서 중국 정부가 지원할 수 있지만 실질적 투자는 투자이익 등 기업들의 현실적 판단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북한이 빠른 개혁·개방에 나서지 못하는 이유는 체제 안정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국제적인 제재가 계속되고 남북관계까지 악화되면 중국 쪽과 더 많은 경협에 나설 수밖에 없는 만큼 변화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옌지=오종석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