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연평도 도발] “재도발땐 先조치 後보고… 현장 지휘관 자위권 보장”
입력 2010-12-07 18:21
7일 국방부 대회의실에서 열린 전군 주요 지휘관회의는 어느 때보다도 결연하고 비장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이명박 대통령은 영상 메시지를 보내 군 기강 일신과 철저한 개혁을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강력하고 효율적인 조직으로 군이 거듭나야 하며 과거의 타성을 버리고 실전형 군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특히 북한과의 국지전 등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실전 대비책을 마련하라는 지시도 덧붙였다.
김관진 국방장관은 직접 만든 10장의 슬라이드 자료를 일일이 설명하면서 지휘지침을 전달했다. 요점만 명료하게 정리한 자료는 김 장관이 추진할 군 개혁의 핵심을 담고 있었다. 김 장관은 “부대관리형 행정부대에서 과감히 탈피해 오늘 당장 전투에 투입할 수 있는 전투형 야전부대를 육성하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상부의 지시를 일일이 기다리는 수동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스스로 임무를 찾아 판단하고 대응 방안을 결정하는 ‘임무형 지휘’를 정착시키라고 강조했다.
김 장관이 요구한 ‘임무형 지휘’란 부하의 능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지휘관으로서 명확한 의도와 임무를 제시하는 것이다. 김 장관이 이를 강조한 것은 상부의 명령을 기다리는 자세로는 북한의 기습적인 도발상황에 즉각 대응할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김 장관은 또 “제2 창군의 각오로 고급 지휘관부터 솔선수범해 군의 명예와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전력을 다하라”고 당부했다. 그는 “장관부터 이등병까지 공감해야 한다. 장군단의 인식이 바뀌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우리가 다시 태어날 유일한 기회라고 생각하자”고 말했다. 장광일 국방부 정책실장은 “6·25 도발 이후 최대 위기 상황인 연평도 포격 도발의 엄중함에 인식을 공유하고 위기 극복을 위한 결의를 다지는 회의였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오후 국회에서 이회창 자유선진당 대표를 면담하면서 “군사적 주도권을 현재 북한이 가지고 있는데 우리가 돌려받을 것”이라면서 “그 역할을 내가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군은 대북 압박작전으로 전단지를 살포한 데 이어 확성기 방송 재개 시기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천안함 사태 직후 대북 심리전을 위해 군사분계선(MDL) 일대 11개 지역에 대형 확성기를 설치했다. 확성기는 출력을 최대로 높이면 야간에 약 24㎞, 주간에는 10여㎞ 거리에서도 방송 내용을 들을 수 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전날 정부 관련 부처에 대북방송과 전단지 살포를 전폭적으로 지원하라는 내용의 권고안을 통과시켰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