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한국 해저케이블 정보 무단 수집했다… 위키리크스 새로운 내용들
입력 2010-12-06 21:13
미 외교관들이 한국을 포함한 세계 전역에서 국가기간시설 관련 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해 온 사실이인터넷 내부고발 사이트 위키리크스가 6일 공개한 미 국무부의 외교 전문(電文·cable)을 통해 드러났다.
◇한국 주요 시설 정보 수집=지난해 2월 국무부는 전 세계 통신망, 송유관, 천연가스시설 등의 대테러 안전 정보를 수집하라는 전문을 각국 주재관에 요구했다. 한국과 일본을 잇는 부산 해저케이블과 신두리 동아시아 횡단 해저케이블 등도 포함돼 있다. 신두리 케이블은 충남 태안에서 중국을 거쳐 동아시아로 이어지는 기간통신망이다. 필립 크롤리 국무부 대변인은 “위키리크스의 폭로가 테러단체에 역이용될 수 있다”고 비난했다.
이에 크리스틴 흐라픈손 위키리크스 대변인은 “우리는 정확한 위치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으며 미 정부가 각국의 동의 없이 정보를 수집해 왔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확인된 것”이라고 반박했다. 한국 외교부 관계자는 “위키리크스 관련 보도는 확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중 지도층은 이익집단=주중 미국대사관은 지난해 7월 23일 작성한 전문에서는 “공산당은 이익집단의 집합체”라며 “후진타오(胡錦濤) 주석도 사위가 대형 포털 시나닷컴을 운영하며 원자바오(溫家寶) 총리의 부인은 중국의 보석업계를 좌지우지한다”고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보고했다.
또 리펑(李鵬) 전 총리 일가는 전력 분야를, 공안 책임자 저우융캉(周永康) 정치국 상무위원 측은 석유분야, 천윈(陳雲) 전 국무원 부총리 일가는 금융 분야를 장악하고 있으며 자칭린(賈慶林) 전국정협 주석은 베이징 부동산 개발 이익을 챙겼다고 전했다.
베이징 올림픽을 앞둔 2008년 4월 16일 전문은 후 주석을 티베트 탄압정책의 총책임자로 묘사했다. 중국 정부 관계자는 “티베트 지역 당서기를 지낸 후 주석이 워낙 강경해 최고지도부 내에서 이 문제를 제기하는 건 정치적 자살 행위”라고 보고했다.
◇테러 자금줄 추적=뉴욕타임스(NYT)는 지난해 12월 30일 미 국무부의 외교 전문을 인용, “사우디아라비아의 기부자들이 알카에다와 탈레반 등 전 세계 이슬람 근본주의 집단의 가장 중요한 자금원”이라고 보도했다. 또 “이슬람 금식월인 라마단과 성지순례인 하지 기간에 거둬들인 돈 수백만 달러가 매년 이들 조직에 건네진다”고 했다. 이라크 정부도 “(수니파가 다수인) 사우디는 뿌리 깊은 반(反)시아파 태도를 지닌 국가”로 “(보다 근본주의 성향인) 수니파 지원에 막대한 자금과 미디어 자원을 동원하는 가장 큰 적대세력”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김지방 기자 fatty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