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연평도 도발] 연평도 피해 복구 300억 즉시 지원
입력 2010-12-07 00:53
정부가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에 따른 인적·물적 피해 보상 및 복구를 위해 예비비 300억원을 즉각 투입키로 했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6일 정부중앙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평도 포격 도발 후속 대책과 관련해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글’을 발표했다.
김 총리는 회견에서 “연평도 주민들이 하루속히 임시 주거지로 이전토록 하고, 주민의 생계 안정과 자녀교육 지원에 힘쓰겠다”면서 “이를 위해 우선 필요한 재원 300억원을 예비비 등으로 편성해 즉시 집행하겠다”고 말했다. 300억원은 생활안정 및 임시거주 지원 80억원, 공공 및 사유시설 복구 100억원, 주민대피시설 보강 100억원, 특별취로사업 20억원에 각각 쓰일 예정이다.
정부는 주택 등 사유시설은 원상복구를 원칙으로 복구비용을 실비로 보상하고 파손된 도로 및 공공건물은 신축할 계획이다. 다만 일부 포격 피해를 본 보건소 등 공공시설물과 주택은 원형을 보존, 안보교육장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연평도 내 7개 대피소도 신축된다.
정부는 이와 함께 주민 정주생활 지원금 지급, 노후주택 개량, 농어민 소득증대 방안 등을 담은 ‘서해5도 종합 발전계획’을 내년에 수립키로 했다. 이와 관련,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어 ‘서해5도 지원 특별법’을 의결했다.
하지만 연평주민비상대책위원회는 이번 대책에 대해 “생색내기용”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대책위는 7일 송영길 인천시장과의 면담에서 정부 보상책 수용 여부를 밝힐 예정이다.
한편 인천시는 군부대와 멀리 떨어져 있는 연평도 종합운동장 주변 부지 7만㎡에 국비 762억원을 투입, 평화마을을 조성해 민간인들이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로 했다.
조윤길 옹진군수는 “북한의 포격으로 파괴된 기존 마을은 유리창을 끼우는 등 최소한의 정비를 끝내고 안보관광지로 조성하겠다”며 “평화마을은 북한의 도발이 발생하더라도 주민들이 떠나지 않고 섬에 살 수 있는 합리적인 대안”이라고 말했다.
이성규 기자, 인천=정창교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