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연평도 도발] 연평도 민간인 희생자 6일 장례식… 유가족-인천시 보상 합의
입력 2010-12-05 18:31
북한의 포격으로 중단된 조업이 재개되고 민간인 희생자 2명에 대한 장례식이 6일 거행되는 등 연평도 사태가 차츰 수습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 주민들은 취로사업을 거부하고 보상 및 집단이주 대책을 요구하고 있어 이번 사태가 완전히 진정되기까지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5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고 김치백(61), 배복철(60)씨 유가족들과 송영길 인천시장 등은 길병원 장례식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예산과 성금 등을 모아 금양호 침몰사고 유족 위로금 수준의 보상금을 지급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유족들은 6일 오전 장례식을 갖고 인천가족공원 납골당에 고인들을 안치하기로 했다.
북한의 포격이 있은 지 13일 만에 연평도에서는 조업이 재개됐다. 선주인 박철훈(56)씨는 이날 오전 8시 선장 서경원(32)씨와 선원 2명을 데리고 연평도 서쪽 4마일 지점에 나가 지난달 22∼23일 설치한 안강망 틀을 확인했다. 총 15개 틀을 바다에 설치했는데 이날은 파도가 높아 간신히 4개 틀만 확인했다. 이 가운데 1개 틀은 바다에 너무 오래 둔 탓에 바닷물과 그물에 걸린 생선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그만 찢어졌다. 나머지 3개 틀에서는 그물에 든 우럭과 광어, 잔새우, 꽃게 등이 뒤섞여 모조리 썩어 있었다.
한편 인천에 잔류하고 있는 연평도 주민들은 정부와 시가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며 이날 옹진군청과 인천시청을 차례로 항의 방문하고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주민들은 군수실의 화분과 집기를 부수는 등 소동을 벌였다. 주민들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와 합의 없이 연평도 현지에서 1일 6만원을 지급하는 취로사업을 하는 것은 주민들을 분산시키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주민 생활안정과 신속한 피해복구를 위해 인천시가 추진한 특별취로사업엔 한 명의 주민도 신청하지 않았다. 주민 5∼6명이 사업 설명을 들으러 오전 9시쯤 면사무소를 찾았지만 대책위에서 나온 주민이 동참하지 말라고 설득했기 때문이다. 차모(70)씨는 “현재 정부를 상대로 이주를 시켜 달라고 요청하고 있는데 취로사업을 하는 것은 섬에 들어와서 살겠다는 것밖에 안 된다”고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인천·연평도=정창교 이용상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