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급속 확산…예천도 감염 확인
입력 2010-12-05 21:20
경북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예천에서도 감염이 확인됐고, 대구에서도 의심신고가 들어오는 등 확산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낙동강 사업에 투입된 중장비 일부가 가축 살처분에 투입될 예정이어서 낙동강 사업에도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경북도는 경북지역 구제역 발생건수가 28건으로 늘어났다고 5일 밝혔다. 지난달 29일 이후 안동을 비롯해 영주 등지에서 접수된 경북의 구제역 의심가축 신고는 모두 39건이며 이 가운데 양성판정 28건, 음성 10건 정밀조사 중 1건으로 집계됐다.
구제역 확산 추세에 대응해 경북도는 방역초소를 현재 167곳에서 250곳으로 늘리고 부족한 방역인력지원을 위해 매일 도청직원 300명을 방역초소에 24시간 투입, 방역 강화에 나섰다. 도는 지역의 구제역 살처분 대상인 우제류 4만8000여 마리 가운데 지금까지 3만5000여 마리의 처분을 완료했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구제역 바이러스 잠복기를 감안하면 앞으로 1주일이 고비”라며 “도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긴박하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구제역 사태는 낙동강 사업에도 영향을 미칠 조짐이다. 경북도는 구제역에 따른 가축 매몰 작업 현장에 중장비가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라 낙동강 사업 현장에서 장비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그러나 제39공구의 경우 공정률이 50%, 제40공구는 겨우 18%에 머물러 이들 공구에 투입된 장비가 구제역 작업에 동원될 경우 낙동강사업 일정 전반에 차질이 우려된다.
현재 안동에서는 1주일째 구제역 위험지역 안에서 소와 돼지 등을 살처분하고 있지만 포클레인 등 장비가 부족해 작업 진척률이 계획의 절반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한편 정부는 이날 구제역 방역 관계부처 대책회의를 열고 국무총리실과 농림수산식품부, 행정안전부, 국토해양부, 환경부가 참여하는 합동 점검·지원반을 구성, 구제역 발생지역 가축의 신속한 매몰 및 이동통제 등을 위해 군 인력과 공무원을 추가로 현장에 투입하기로 했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