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해킹, 中 고위 인사가 지시”… 위키리크스 문건, 中·美 외교 마찰 우려
입력 2010-12-05 18:49
올해 초 중국 정부와 미국 인터넷업체 구글 간의 갈등을 초래했던 구글에 대한 해킹에 중국 공산당 고위 인사가 개입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중·미 간 또 하나의 외교적 마찰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폭로전문사이트인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주중 미국 대사관의 비밀 외교전문에 따르면 중국 내 권력 서열 5위인 리창춘(李長春) 공산당 중앙위 정치국 선전담당 상무위원과 서열 9위인 저우융캉(周永康) 상무위원이 수년간 구글 해킹을 지시해온 것으로 드러났다고 4일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리 상무위원은 중국 언론 정책의 총사령탑이다.
지난해 5월 외교전문에 따르면 리 상무위원이 구글의 검색란에서 자신의 이름을 입력하자 비난 글이 여과 없이 떠오르는 것에 적대감을 품고, 구글 공격을 직원에게 하달했다고 미국 대사관은 본국에 보고했다.
구글 해킹 작업에는 중국 정부 첩보원, 민간 보안전문가, 중국 정부에 의해 모집된 인터넷 범죄자 등이 동원됐다. 미국 내 사기업은 물론이고 정부 기관, 동맹국 심지어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의 컴퓨터도 해킹 대상이었다.
리 상무위원은 저우 상무위원과 보조를 같이 해 당시 검열을 받지 않았던 구글에 중국의 검열 규정을 따르라고 압박했다. 또 이들은 구글의 G메일을 사용하던 반체제 인사들의 계정도 조직적으로 해킹했다. 여기에다 중국 정부는 정부 영향력 아래에 있던 3개 통신 회사에 구글과의 사업을 중단하라고 명령했다.
특히 2008년 11월 3일 외교전문에는 이들이 코드명 ‘비잔틴 캔더(Byzantine Candor)’로 명명된 공격을 통해 미국 정부 기관에서 50만 메가바이트(MB) 분량의 이메일과 사용자명, 그리고 비밀번호를 빼낸 것으로 확인됐다.
외교전문에는 후진타오(胡錦濤) 국가 주석과 원자바오(溫家寶) 총리가 이 같은 내용을 알고 있었는지는 불투명하다고 언급했다.
앞서 구글은 지난 3월 중국 정부의 검열 강화에 항의해 중국어 검색 사이트 서비스를 중단하고 홍콩을 통한 우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중국 정부와 갈등을 빚은 바 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