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연평도 도발] MB “중국과 협력” 강조하지만… 中, 안보리서 ‘북 감싸기’ 노골적

입력 2010-12-02 00:30

이명박 대통령이 1일 중국과의 협력을 강조하고 나섰다. 북한의 연평도 도발 이후 남북 간 긴장이 최고조에 이르면서 중국의 중재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중국이 우리 정부에 보여주고 있는 모습은 기대와 동떨어져 있다는 지적이다.

이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가진 외교안보자문단 조찬 간담회에서 한·중 간의 대화와 신뢰를 강조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그러나 중국은 지난 3월 천안함 사태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에도 ‘북한 편들기’에 치중하는 모양새다. 특히 지난 27일 방한했던 다이빙궈(戴秉國) 중국 국무위원과 동행했던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특별대표는 귀국 직후 기자회견에서 한국 정부의 요청으로 급히 방한했다는 엉뚱한 말을 하는 등 외교적 무례를 범했다.

이런 결례는 외교적 장애물로 현실화되고 있다. AFP통신 등은 유엔 주재 외교관들의 언급을 인용, 영국과 프랑스가 초안을 마련해 추진 중인 연평도 포격과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비난 성명이 중국의 반대로 무산될 것 같다고 보도했다. 초안에는 연평도 포격에 대해 북한이 한국을 공격했다는 명백한 표현이 들어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 나라를 비롯해 미국과 일본, 당사국인 한국은 성명 내용에 북한을 ‘비난’하고, 북한이 안보리 결의를 ‘위반’했다는 표현이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비난’과 ‘위반’ 등 북한을 비판하는 문구를 삭제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중국 요구대로 대북 비난 문구가 삭제된다면 안보리 성명을 채택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낫다는 입장이다. 익명을 요구한 서방 외교관은 AFP에 “우라늄 농축 안건을 논의한 회의는 본질적으로 실패했고 다시 열릴지도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은 이날 베이징에서 열린 한 포럼에서 연평도 포격 사태와 관련해 “중국은 각 사안의 가치에 기초해 입장을 결정하며 어느 쪽도 보호하려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스옌훙(時殷弘) 중국 인민대 교수는 ‘중국은 북한이 붕괴하더라도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위키리크스의 폭로에 대해 “중국은 북한 붕괴를 전제로 한 한반도의 통일을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중국이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지난해 4월 기존 6자회담 대신 중국과 미국, 북한이 참여하는 3자대화를 비밀리에 미국에 제안했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외교전문을 인용해 30일 보도했다.

엄기영 기자,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