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무부-국방부 정보공유 잠정 중단… 위키리크스 폭로 이후 추가 기밀 유출 막기 위해

입력 2010-12-01 18:43

미국 국무부가 위키리크스의 외교전문 폭로 이후 추가 기밀 유출을 막기 위해 군과의 정보 공유를 잠정 중단했다.

필립 크롤리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30일(현지시간) “국무부의 외교전문 데이터베이스와 군 내부 전산망 간 연계를 잠정 중단했다”고 밝혔다. 국무부의 외교 전문 정보에 대해 국방부의 접근을 일시 차단한 것이다. 이는 2001년 9·11테러 이후 추가 테러를 막기 위해 미국이 정부 부처 간 정보 공유 범위를 확대한 이후 9년 만의 조치라고 언론들은 전했다.

국무부가 이같이 결정한 건 위키리크스로 기밀이 유출된 경로가 국방부 전산망(SIPRNet)일 가능성이 아주 높기 때문이다. 현재 관련 기관들이 조사하고 있지만 육군에서 정보분석 업무를 담당하던 브래들리 매닝 일병이 유출 혐의를 받고 있다.

미 국무부와 국방부는 앞으로 외교전문 정보공유 방식에 대해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국방부 고위관리들이 전했다. 두 기관이 아예 외교전문 공유를 차단할 가능성은 별로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접근 권한 보유자수를 줄이고 비밀 등급을 강화하는 등 일정한 추가 제한 조치를 내리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미 정부 내에선 매닝 일병 같은 하급 군인이 어떻게 그렇게 많은 외교 기밀에 접근했는지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폭스뉴스는 이번 주초 외교전문 등에 접근할 수 있는 군인과 공무원, 정보기관원 등이 최대 300만명이라고 보도했다. 국방부 측은 위키리크스 폭로 이후 정보 관리 규정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프랑스 정부도 외교전문 공유체계 관리에 나섰다. 프랑스 정부 대변인인 프랑수아 바루앵 예산장관은 30일 각료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프랑스가 앞으로 전문을 발송하는 방식을 바꿀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