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연평도 도발] 연평도 주민 ‘위로금 배분’ 갈등

입력 2010-12-01 18:28

연평도 주민들이 위로금 배정을 놓고 내홍을 겪고 있다. 실제로 연평도에 거주하고 있으나 주민등록을 옮기지 않은 주민들이 위로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기존 토박이 주민과 갈등을 빚고 있다. 위로금 액수는 100만원으로 그리 많지 않지만 향후 정부가 지원할 예정인 공식 위로금 지원 대상 선정에 시금석이 될 수 있어 소외된 주민들의 반발이 더 커질 전망이다.

1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연평도에 거주해온 꽃게잡이 어선 40여척의 선원과 인부 등 300여명의 주민들이 위로금 지급을 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지난 10여년간 연평도에서 거주하며 선원으로 일했다는 김천호(38)씨는 “연평도에서 나고 자랐는데 자녀 교육문제로 주소지를 인천으로 옮긴 것을 이유로 보상에서 제외한 것은 잘못”이라고 말했다.

주소지가 대구로 돼 있는 최모씨는 “적게 살았든 오래 살았든 다 같이 포격 맞은 것 아니냐. 다 같이 생계 걱정하는 주민인데 누구는 생활비 주고 누구는 제외하는 게 말이 되느냐”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이처럼 주민등록은 없지만 실제 거주자 가운데 보상에서 제외된 인원은 200여명으로 추산된다. 앞서 옹진군은 주민등록상 인구 1756명 중 1176명이 위로금을 신청하자 연평도 주민들로 구성된 연평면비상대책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이 중 622명에게만 5억9100만원을 지급했다. 지급 기준은 연평도에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하거나, 연 3회 이상 여객선을 이용했는지 여부다.

앞으로 주민들에게 돌아갈 위로금 규모가 커질수록 주민 간 불화는 확대될 전망이다. 인천시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확보된 성금 중 민간인 희생자 위로금을 제외한 수억원의 성금을 연평도 주민에게 배분할 계획이다. 시는 17억770만원을 연평도 피난민 대책비용으로 사용키로 했고, 군은 예비비 23억6900만원을 마련해놨다.

토박이 주민들 사이에서도 갈등이 커지고 있다. 이날 임시주거지 결정을 위한 주민투표에서도 투표에 참여한 주민대책위원 29명이 경기도 김포 양곡지구 집단이주를 반대하고 13명만 찬성했다.

인천=정창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