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확산 막아라” 비상… 차량 통제·가축시장 임시폐쇄

입력 2010-12-01 21:38

경북 안동의 양돈농장과 한우농가에서 구제역이 잇따라 발생하자 충남북, 경기도 등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구제역 확산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1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지난 4월 구제역으로 소·돼지·사슴 등 우제류 1만1536마리를 살처분했던 충북 충주시는 충주축협과 협력해 우제류 30마리 이상 사육농가에 대해 집중 소독을 실시하고 구제역 소독약과 생석회를 축산농가에 배부했다. 또 농장 출입자와 차량의 통제를 엄격하게 하는 한편 해외여행 자제, 외국인 근로자 방역관리 강화 등 구제역 예방지침의 철저한 이행을 축산농민들에게 당부하고 있다.

충남도는 보령시, 논산시, 아산시, 청양군, 부여군 등의 11개 농장이 안동의 양돈농장과 역학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해당농장에서 사육되는 돼지의 이동을 제한하고 차단방역과 임상관찰을 강화했다. 해당농장 중 보령시에 소재한 2곳은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안동 양돈농장을 방문해 질병진단 등 컨설팅을 했던 가축전문가가 찾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나머지 9곳은 가축전문가가 구제역 발생 이전 14일 이내에 안동 양돈농장을 방문, 질병진단 등을 해준 뒤 찾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 화성시는 소규모 축산농가 소독지원을 위해 편성된 24개의 공동방제단을 통해 구제역 차단에 나서는 한편 생석회 200t을 축산농가에 공급했다.

인천 강화군은 시·군 공무원 등 90여명으로 구성된 전담반과 읍·면 담당자, 수의사 등을 투입해 임상관찰 활동을 벌이고 있다.

전남 곡성군은 옥과면과 석곡면을 관통하는 주요 나들목에 3일부터 방역 초소를 세우고 직원 18명을 상시 배치할 계획이다. 전북도는 예비비 16억원을 긴급 투입, 경상도에서 진입하는 고속도로 나들목과 도 경계 주요 도로 20여 곳에 이동 통제초소를 설치하고, 도내 10개 가축시장을 무기한 폐쇄했다.

제주도는 1일부터 가축시장을 잠정 폐쇄하고 축산사업장의 외부인 출입을 통제했다. 모든 축산농가에는 베트남, 중국 등 구제역 발생 사례가 있는 국가로의 여행을 자제해 달라는 긴급 서한문을 보냈으며, 다른 지역에서 생산한 우제류와 부산물의 반입을 전면 금지했다.

전국종합=이종구 기자 jg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