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연평도 도발] “中, 대국의 자세와 거리”… 한나라당 중국 정부 태도 비판

입력 2010-12-01 21:35

한나라당에서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중국 정부가 보여준 태도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달 28일 중국의 6자회담 재개 제안과 다이빙궈(戴秉國)외교담당 국무위원의 이명박 대통령 면담 과정이 주요 타깃이다.

정의화 국회부의장은 1일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북의 포격 도발 이후 중국이 보인 모습은 동북아 세력 균형자로서 대국의 자세와 거리가 있다”며 작심하고 말문을 열었다. 정 부의장은 “지난 주말 방한한 다이 위원 일행의 안하무인적인 행동은 대한민국에 대한 무례”라며 “(중국은) 한국 국민이 얼마나 실망하고 분개하고 있는지 알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 외교 당국자들에게도 실망하고 있다”며 “당 차원에서 대 중국 외교 시스템 보완 등 특단의 조치를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날 국회 예산결산특위 회의에서도 성윤환 의원이 “(다이 위원의 방문은) 대단히 무례한 행동으로 우리로선 굴욕적인 처사”라고 비판했다.

당내에서는 이를 계기로 대중 외교 전략 점검과 일대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이 G2(주요 2개국)로 급부상하면서 달라진 미·중 관계와 한반도 정세에 맞춰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논리다. 국회 외교통일통상위원회 남경필 위원장은 “지금 한국은 경제적으로는 중국의 큰 영향을 받고 외교·안보 측면에서는 중국과 적대적으로 가는 언밸런스한 상황에 있다”고 지적했다. 남 위원장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중국 핵심 인물들과 인맥을 쌓는 등 대중국 외교 인프라를 구축해 나가야한다”고 말했다.

한중의원외교협회 우리측 간사장인 구상찬 의원은 “우리 외교부가 달라진 중국의 위상을 실감 못하고 있다”며 “G2 국가 일원인 중국이 (국제사회에서 요구하는) 도덕적 의무감을 잘 이행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런 점까지 감안해 새롭게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