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생명(生命)의 관점에서 본 동성애(우남식 목사)
입력 2010-12-01 12:59
동성애(homosexuality)
호모(homo)란 용어는 그리스어로 남성과 여성 사이에 이루어지는 이성애에 대한 반대 개념이다. 이 용어가 동성연애자로 사용되어진 것은 19세기말 헝가리 의사가 그 이전의 동성애를 종교적 또는 도덕적으로 모멸하는 용어인 sodomy를 대신하여 병리학적 인식으로 이 용어를 사용하면서다. 그러나 산업화 이후 동성애자들에 대한 탄압이 시작되면서부터 호모는 동성애와 동성애자를 모멸하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게이(gay)라는 용어는 동성애자들이 어두운 동성애자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밝은 이미지의 기쁨이란 의미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원래는 남녀 동성애자 모두를 지칭했으나, 지금은 주로 남성 동성애자를 가리킨다. 레즈비언(lesbian)은 여성 동성애자를 지칭한다. 고대 그리스의 유명한 여자 시인 사포가 그의 여자 제자들과 살았던 레스보스 섬에서 유래한다. 그리고 커밍아웃(coming out of the closet, coming out stage)이란 용어는 ‘벽장 속에서 나오기, 혹은 무대로 나오기’의 축약으로, 동성애자 스스로가 자신의 정체성을 밝히는 것을 말한다.
동성애의 역사
고대 서양에서의 동성애는 플라톤의 ‘향연’ 중 아리스토파네스의 연설에 나타나 있고, 구약성경의 창세기 19장 5절에 소돔성에 두 천사가 롯의 집에 찾아왔을 때 소돔 사람들이 집 주위를 둘러싸고 “너희 집에 온 그들을 끌어내라 우리가 그들과 상관하리라”고 협박하는 장면에서 찾을 수 있다. 여기에서 상관한다는 것은 영어 성경에 “have sex with them”(NIV)로, 동성애를 뜻한다. 로마 황제들 가운데 동성애자가 많았다는 사실 또한 사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최초의 동성애자는 신라 원성왕대(785~798)에 묘정이라는 미소년이다. 그리고 제 36대 혜공왕(758~780)이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그는 8세의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다. 평소 여자같이 행동하고 옷 입기를 즐겨하여, 신하들이 의논하기를 원래 왕은 여자였는데 남자의 몸을 빌어 왕이 되었으니, 나라에 불길하다고 하여 죽였다고 전해진다. 고려시대에 와서는 고려의 공민왕(1330~1374)이 동성애자였다. 왕은 몽고 출신의 노국 공주가 병사하자 큰 슬픔과 고통 속에서 살다가 자제위라는 궁정 청년 근위대를 만들고, 그들과 동성애를 즐기다가 후궁 익비와 사통한 홍륜에게 죽임을 당한다. 조선실록의 세종기에 세자빈 봉씨가 후궁들과 오랫동안 동성애를 즐기다 발각되어 궁에서 쫓겨난 사건이 기록되어 있다. 구전으로 전해진 민간의 동성애 전통과 관련된 민담과 구전가요도 화랑에서 찾아볼 수 있다. 조선시대 이익의 성호사설에서 화랑의 남색 행위는 부정할 수 없다고 하였다. 고려시대 경기체가 한림별곡에서 찾아볼 수 있고, 또 박지원의 열하일기에서 청나라 상인들과 미소년들이 거래를 통해 동성애 행위를 하고 있다는 기록이 있다. 이러한 단편적인 기록들이나 구전을 볼 때 우리 역사 속에서 동성애는 꽤 보편화되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의 동성애 운동이 본격화된 것은 동성애 인권운동에 참여하게 된 1960년대 이후라고 할 수 있다. 그 전개과정을 보면 1890년경부터 제2차 세계대전 직전까지를 동성애 운동의 발아기라 할 수 있다. 미국의 동성애 조직이 최초로 만들어진 것은 1924년이다. 독일계인 Henry Gerber에 의해 주도된 Society for Human Rights는 불과 몇 개월 만에 2회에 걸쳐서 ‘Friendship and Freedom’이라는 잡지를 간행하여 미국 동성애사의 서장을 열었다(Adam, 1995).
1945~1969년은 형성기로, 이때는 제2차 대전 직후로, 매카시즘이 파고들어 동성애자들이 탄압을 받고 있었던 때다. 그들은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전용 술집을 만들어 자구책을 세워나갔다(Adam, 1995). 이러한 억압적인 분위기 속에 킨제이는 1948년의 보고서에서 백인 남성의 50%만이 평생 이성애적인 성행위를 원한다고 주장하여 동성애 욕구가 얼마나 보편적인가를 사회에 부각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0~1950년대의 사회는 동성애 운동에 대해 배타적이었다(D'Emilio, 1983). 그러다가 1960년대 반전 운동과 미국 사회 전반에 일어난 급진주의는 동성애 운동의 새로운 기회를 제공했다.
1969~1980년대는 동성애 운동의 정착기로 볼 수 있다. 특히 1969년은 동성애 운동의 중요한 획을 그은 해였다. 1969년 6월 27일 뉴욕 경찰이 그린니치 빌리지(Greenwich Village)의 선술집 스톤 월 인(Stone Wall Inn)을 급습하자 동성애자들은 공격적인 저항과 조직적 집단행동으로 반발했다. 스톤 월 인 사태는 동성애자들을 하나의 정치적 세력으로 결집시켰다. 스톤 월 인 사태 1주년 기념행사로 시작된 게이 행진은 연례행사가 되어 커밍아웃을 독려하는 축제로 정착되었다.
1981~1990년은 전환기로, 스톤 월 인 사태 이후에 점차 입지를 넓혀가던 미국의 동성애운동은 1980년대에 들어 에이즈라고 하는 전혀 예상치 못하는 돌발변수를 만나게 되었다. 1980년대에 많은 동성애, 게이들이 에이즈로 사망을 하게 되고, 1980년의 신보수주의적 사회 분위기로 동성애에 대한 억압이 강화되기 시작했다. 이런 환경 속에서 게이들은 에이즈와 동성애의 분리를 시도하여 에이즈의 예방이나 치유를 위한 방안과 에이즈와 동성애와는 별개라는 전략과 대응책을 강구하기 시작하였다(Vaid, 1995).
우리나라 동성애가 대학에 등장한 것은 1995년 10월 연세대에서다. 당시 성정치라는 용어가 나왔다. 2000년 한국 인기 탤런트 홍석천의 커밍아웃이 일반인들에게 적잖은 충격을 주었다. 이제 동성애는 동성애 동아리를 조직하여 동성애자들이 드러내놓고 활동하고 있다.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우리 주변에 은밀하게 퍼져나가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동성애를 다루는 웹 사이트는 50개 이상인데 그곳에 올라온 동성애 관련 질문은 총 1만개 이상이 넘는다. 그 밖에 동성애를 다룬 서적과 전문 자료는 4500권을 웃돈다고 한다. 또한 이태원, 종로에 있는 동성애자들의 공간도 약 100여 곳이 있다고 하니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동성애에 대한 관심과 그 대상이 폭넓음을 짐작할 수 있다.
120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한 ‘왕의 남자’ 또한 동성애적인 분위기를 묘사하는 대표적인 우리나라의 동성애 영화로 꼽힌다. 그리고 해피 투게더(1998년), 필라델피아(1994년), 패왕별희(1993년), 토탈 이클립스(1995년), 브로크백 마운틴(2006), 일본영화인 메종 드 히미코(2006년), 프랑스 영화인 타임 투 러브(2005년), 친구 사이(2009), 헤드윅(2000), 아이다호(1991), 왕의 남자(2006), 후회하지 않아(2006)등이 있다. 이제 동성애를 다른 작품들이 영화를 벗어나 “사랑은 아름다워”와 같이 드라마로 가정에 파고들고 있다. 어린이들이 그 드라마를 보고 영향을 받아 남아끼리 포옹하고 뽀뽀하며 성장하여 남아끼리 결혼하다(11월30일 국민일보 동성애②)는 기사가 나오고 있다.
동성애의 원인
첫째는 생물학적 이론이다. 최근까지 동성애가 생물학적으로 결정되는가를 확인하려는 연구들은 주로 유전설(세포 유전학), 호르몬설(내분비계), 뇌 구조설(신경해부학)로 나누어진다. 유전설은 부모로부터 받은 유전적 요인이 동성애적 지향을 결정하는가를 밝히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쌍둥이를 표집 집단으로 삼고 있다. 동성애가 유전되는 것은 아니지만 자궁 내에 있을 때 신경계통의 이상으로 출생하면서 동성애 기질을 갖고 태어난다는 설명이다. 1952년 미국의 칼만은 쌍둥이들의 동성애에 관한 연구에서 한쪽이 동성애자이면 다른 한쪽이 동성애자일 가능성이 100%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십년 후에는 독일의 슈레겔도 113쌍의 쌍둥이를 조사했는데, 칼만과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이 연구들은 연구에 대한 문제점 때문에 객관성을 상실한 것으로 판명이 났다. 예를 들면 칼만의 경우 그 표본이 교도소 및 정신병원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였기 때문에 그 결과를 일반화시킬 수 없으며, 또 일란성 쌍둥이라는 진단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상태에서 연구되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둘째는 심리 분석적 이론이다. 이들은 프로이드의 견해를 따르는 것이 공통점이다. 즉 어머니에 대한 성적 욕망에의 공포증이나 혹은 oedipus complex에서 온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여 프로이드는 인간은 원래 양성적 존재로 태어나는데, 동성애자들은 자라는 도중 부모와의 갈등과 가족의 상호작용이 잘못되어 동성애적 성향에 고착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프로이드는 아동기의 발달장애로 보고, 동성애가 이성애보다 미숙한 형태의 성적 행위로 본다. 의식적 선택의 결과가 아니라 심리적 콤플렉스로 보는 것이다. 조루증으로 인해 여성의 질에 대한 공포증, 여자는 남성의 성기의 삽입에 대한 두려움, 생물학적인 기질이 아닌 환경과 심리적인 현상으로 본다.
Hurlock(1949)은 성의식의 발달에는 다섯 단계의 시기가 있다고 보았다. 첫째는 성적 반발 시기(sex-antagonism)이다. 유아기에는 남녀가 남성에 무관심하다가 아동기에 들어서면서부터 성적 호기심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동성교우(unisexual friendship)의 경향은 성장과 더불어 강화된다. 둘째는 성적 혐오시기(sex-aversion)이다. 사춘기의 부정적 경향의 일면으로는, 이성으로부터 단기간 멀어지려 하는 시기가 있다. 이런 경향은 소년보다 소녀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성의 생리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한 까닭으로 인하여 성 일반에 대한 불안, 수치, 혐오의 현상이 일어나 남성을 혐오하거나 냉담해짐과 동시에 거친 태도를 취하게 되고, 동시에 성적 변화를 주위 사람들로부터 놀림을 받음으로 생기는 수치심이나 공포심으로 인해 생길 수 있다. 그리고 연장자를 동경(동성애와 영웅숭배)하는 시기이다. 이때 동경하는 대상이 동성일 경우에는 심취(crush), 이성일 경우는 영웅숭배(hero worshipping)라고 한다. 심취는 육체적인 접촉보다 정신적인 공명의 희열감이 중심이 되고 있는 동성애의 심리가 작용하게 되며, 13세부터 16세 무렵까지의 사이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는 동성애(homosexuality)가 아닌, 정상적인 현상이다. 이 시기에 동성애자로 될 가능성이 없지 않아 있다.
셋째는 비정상적 가정환경에서 온다는 견해이다. 예를 들면 어머니의 지나친 보호와 사랑으로 아버지의 사랑을 맛보지 못한 아들은 동성애에 빠지기 쉽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동성애란 의식적 선택결과가 아니라 환경과 심리적인 콤플렉스에서 온다는 견해이다. 학습이론에 기초해서 동성애를 부모나 가족 환경으로 영향을 받은 조건 형성이라는 것이다.
동성애의 문제점
세계보건기구서 성적 건강(sexual health)에 대한 정의를 “개인의 인성, 의사교환 능력 및 사랑의 감정을 키워주기 위하여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및 사회적인 영역 등에서 개인이 성적인 존재(sexual being)로 통합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Byer & Shainberg, 1994). 김흥규(2003)는 성숙과 건강의 개념을 “성숙한 사람이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건강하고, 심리적?사회적으로 성숙된 상태다”라고 정의하였다.
DSM-I과 DSM-II(1965)에서는 동성애를 성격장애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동성애자들의 소수 인권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1970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국정신의학회 학술대회에서 동성애를 인정하라고 방해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로 인해 DSM-III(1980)에서는 동성애를 장애진단기준에서 삭제시키는 대신 보다 제한적으로 자아이질적(ego-dystonic)으로 교체하였다. 그러다가 DSM-III-R(1987)에서는 자아이질적인 동성애 조항이 삭제되어 동성애 진단평가가 사라졌고, DSM-IV(1994)에서는 동성간의 성관계에 관한 단어조차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그대신 아동기 분야에서 Gender Identity Disorders(정체성 장애) 조항만이 다루어지고 있다. 그 이전, 1972년에 미국심리학회는 이미 동성애를 성격 장애자의 분류에서 제외시켰다. 이런 영향으로 한국도 동성애를 합법적으로 다루려고 한다. 여기에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성은 심리적 현상으로 구분하지 않는다. 동성애는 선천성이냐 후천성이냐는 논쟁인데 성이란 용어인 서양어의 ‘sex’라는 단어는 ‘나눈다’, ‘분리하다’의 뜻인 ‘seco’, ‘sec’에 관련된 라틴어 ‘sexus’에서 유래한다(Joseph, 1967). 이는 성교나 성 관계를 의미하기보다 생물학적인 면에서 남녀를 구분한 것으로, 개인이 태어나면서부터 남성(male), 여성(female)으로 구분된 선천적인 성을 뜻하는데, 이를 성적 주체성(sexual identity)이라 말할 수 있다(윤가현, 1990).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남성과 여성으로 분리된다. 다시 말해 남성과 여성을 구분할 때 외적인 남성과 여성의 성기를 통해 구분된다. 심리적으로, 혹은 유전 인자를 보고 여성이냐 남성이냐 구분하지 않는다.
둘째, 동성애는 생명을 잉태할 수 없다. sex란 six(6)라는 숫자에서 왔다. 이는 10계명 중 제 6 계명의 간음하지 말라는 뜻이다(개신교의 십계명 7계명, 천주교는 십계명의 둘째, 셋째 계명을 하나로 묶었기 때문에 개신교의 7계명이 6계명이 됨). 따라서 성이란 순결을 뜻한다. 그리고 성행위는 두 가지 기능을 갖고 있다. 하나는 출산이고 또 다른 하나는 쾌락이다. 성행위는 둘 다를 포함한다. 전통적으로 성행위는 출산에 한하도록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었지만 성의 에로틱한 즐거움을 분명히 긍정한다(잠 30:18,19). Nelson(1978)은 “性(성)은 후손들을 산출하기 위한 것만이 아니라 오히려 즐거움과 긴장을 풀려는 욕구다”고 했다. 그러니까 성행위의 기능 중에 하나라도 빠지게 되면 건강한 성이라고 할 수 없다. 건강한 성인 남녀가 성을 나눌 때 거기에는 쾌락과 생명이 잉태하게 된다. 그러나 동성애자들은 성의 기능인 쾌락은 누릴지 모르지만 생명을 잉태할 수 없다. 그러므로 동성애는 성 윤리의 문제 이전에 생명의 문제이다.
셋째는 동성애자의 육아 문제이다. 동성애자들은 상당수 결혼을 한다. 동성과 결혼했을 때 생명이 잉태할 수 없다는 것은 이미 밝혔다. 그래서 동성애자들은 입양을 하게 된다. 그렇다면 입양한 아이들은 어떻게 될 것인가? 심리학자 타일러는 가정에서 92%가 3세 이전에 문화화, 사회화 과정을 다 겪는다고 했다. 그리고 심리학자 반두라는 부모를 자녀의 역할 모델의 첫째로 보고 있다. 그래서 이혼한 가정에서 성장한 아이들이 이혼하는 경우가 이혼하지 않은 가정의 자녀들보다 많다고 본다. 이것은 아이들이 알게 모르게 자의든 타의든 어린 자녀들은 부모의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동성애자의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이 또 다른 동성애가 되지 않는다고 누가 보장할 수 있겠는가? 입양한 아이들은 선천성이 아닌 후천성 동성애자가 된다. 이렇게 되면 동성애자들은 확대 재생산되게 된다. 동성애자들이 주장하는 선천성이라는 것은 의문의 여지가 있다.
넷째는 가정의 위기이다. 하나님이 인간의 행복을 위하여 두 가지 기관을 창설하셨다. 하나는 교회이고 다른 하나는 가정이다. 그런데 교회보다 가정이 먼저 세워졌다. 가정은 생명이 창조되고 행복이 만들어지는 곳이다. 가정은 인간이 만나는 최초의 사회공동체이고, 행복한 가정에서 자란 자녀가 가정의 소중함과 결혼의 소망을 갖게 된다. 가정은 삶의 법을 배우며 사회화 되는 생의 보금자리이고, 가정은 사회 근간을 유지되고 발전되어지는 곳이다. 그래서 페스탈로치는 가정은 도덕상의 학교라고 할 만큼 가정에서의 교육을 중요하게 여긴다. 그런데 동성애의 결혼이 증대할 때 가정이 어떻게 되겠는가? 동성애자들이 확대 재생산될 때 가정은 위기를 맞게 된다. 가정이 무너지면 사회공동체를 지탱하는 근원적인 터를 잃게 된다. 성경은 기초의 중요성을 이렇게 설명한다. “터가 무너지면 의인이 무엇을 하랴”(시편 11:3). 가정이 무너지면 사회 공동체가 무너지고 인류 공동체는 존재할 수 없게 된다.
다섯째, 윤리는 보편적이고 우선적이다. 윤리의 원칙 중에 보편성의 원리가 있다. 윤리에 있어서 시대와 문화에 따라 수많은 차이점과 다양성을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그 차이와 다양성만큼이나 공통점과 보편성이 있다. 사랑이 미움보다 값지다는 것, 일부다처제가 통용되는 사회라 하더라도 일부일처제가 부부 상호간의 인격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데 훨씬 효과적일 것이라는 것은 모든 사람들이 인정하는 보편타당한 원리이다. 이성애가 동성애보다 보편타당하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리고 윤리적 가치체계는 다른 가치체계에 우선한다. 낙태가 법적으로 금지되는 이유는 아이가 정상적인 삶을 살아갈 권리가 부모가 자신의 행복을 추구할 권리에 우선하기 때문이다. 이를 쉽게 말하면 생명은 쾌락과 행복에 우선한다. 따라서 생명이 쾌락과 행복보다 우선하는 것이 윤리의 특징이라면 생명의 원인이 되는 성의 문제를 다루는 성윤리는 어떤 윤리?도덕보다 우선한다.
동성애가 환경과 심리적인 현상이 아닌 생리적인 현상이라고 백보 양보한다 해도 이 세상에 생명보다 더 귀한 것은 없다. 그러나 동성애는 생명이 없다. 지금 환경윤리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4대강을 반대한다. 환경 윤리를 주장하는 사람들도 생명 존중 사상에서 비롯될 것이다. 그러면 생명은 성에서 온다. 성은 생명의 잉태를 가져다준다. 그러므로 생명은 곧 성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은 인권을 중요시한다. 그렇다면 생명을 잉태하는 성 또한 중요하다. 생명이 없는 인권존중은 그 기초가 허물어질 수밖에 없다. 오늘날 인권 존중의 차원에서 주장하는 동성애자의 권리는 생명을 잉태하는 가장 기본적인 건강하고 보편적인 생명윤리에서 벗어나고 있다.
그리고 또 다른 하나는 다수의 인권의 중요성이다. 소수 인권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문명사회, 건강한 사회이다. 그렇다고 다수 인권을 무시하는 것도 보편성의 원리에 어긋난다. 한 예를 들어 군대에서는 내무반에서 여자와 동침할 수 없다. 그러면 동성애자들과 이성애자들과 같은 내무반에서 생활할 수 있는가? 아니면 그들끼리 따로 내무반 생활을 하도록 한다는 것인가? 그것은 군대의 내무반에서 성적 행위를 용인하는 것이 된다. 소수 동성애자들의 별도의 집단생활을 용인한다면 다수의 이성애자 군인들이 군내무반에서 여성과 동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불평등하다. 다수의 인권도 중요하다.
오늘날 동성애의 문제는 소수 인권의 보호라는 측면에서 옹호되고 그 세력이 커져가고 있다. 그러나 동성애 문제는 본래 성을 인간에게 선물로 주시고 이를 통해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는 생명의 축복과 사명의 존재로 만드신 창조주 하나님의 창조 목적에 따라 본질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모든 윤리의 기초인 생명 윤리 곧 성윤리를 좇아 성정체성을 회복하고 가정을 지키고 보호하는 적극적인 대처 방안을 찾아야 한다.
우남식 목사(대학마을교회 담임, 인하대학교 사범대 사회교육학과 겸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