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연평도 도발] 金국방 국회 답변… 의원들, 교전규칙 지휘 체계 추궁

입력 2010-11-30 22:03

국회 국방위원회의 30일 전체회의에서 여야 의원들은 북한의 연평도 도발 당시 우리 군의 대응 문제를 집중 추궁했다.

김태영 국방장관은 대응이 미흡했다는 의원들의 지적에 대해 “지난 57년간 (서해 5도에서의) 가장 큰 위협은 적의 상륙에 의한 섬 탈취”라며 “상륙 위협만 크게 보고 포격 위험을 부수적으로 본 것은 판단 미스”라고 답변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현지 지휘관은 공격받은 데 비례해 공격한다고 했다”면서 “우리가 개머리지역 사격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내서 (대응) 할 수 있었다. 병사들이 13분 만에 포탄을 쏘게 된 것은 칭찬해줘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서해 5도 전력 증강 계획과 교전 규칙의 문제점 등에 대한 지적도 잇따랐다. 한나라당 김장수 의원은 서해 5도 전력 증강을 위한 장거리 미사일 도입 검토와 관련, “사거리를 고려할 때 굳이 (서해 5도에) 장거리 미사일을 배치할 필요가 있느냐”며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에 김 장관은 “아직 확실히 정해진 것은 아니다”며 한 발 물러섰다.

한나라당 김학송 의원은 “우리 군의 교전규칙에는 동일 무기 체계로 2∼3배로 응사한다는 규정이 명문화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장관은 “현재 우리 군의 교전규칙에는 북의 도발을 받았을 경우 동일 무기 체계로 2∼3배로 응사한다는 규정이 없다”고 답했다. 그러나 그는 “다만 규칙에는 명문화되어 있지 않지만, 예하 부대의 지침 등에는 이런 조항을 강조해 대응 명령을 하달하고 있다”고 말했다.

같은 당 한기호 의원은 “최초 대응을 할 때는 현지 지휘관이 대응하는 것이 맞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상급 지휘관이 해야 할 몫이 (교전규칙에) 빠져 있다”며 “현지 지휘관이 알아서 하라는 것은 국가운명을 대령에게 맡기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민주당 박상천 의원은 설계 결함으로 침몰사고가 난 K-21 장갑차 문제를 지적하면서 “방위사업청이 무기를 개발함에 있어서 완벽주의가 실종됐다”고 질타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김 장관은 북한의 연평도 포격 당시 대포병 레이더 작동 여부에 대해 “(북한군 포격 지점을) 탐지하는 데 실패했지만, 가서 물어보니까 (레이더가) 켜져 있었다는 답변을 들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지난 24일 국방위 보고에서는 “북한의 연평도 포격 당시 대포병 레이더가 꺼져 있었다”고 보고했었다.

한장희 유성열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