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문표 농어촌공사 사장, “저소득 영세농민 소득향상 우선 지원”

입력 2010-11-30 20:19


“한국이 주요 20개국(G20) 내에서도 선진국 그룹이라고 하지만 도시 기준이지, 농어촌 기준은 아닙니다. 도시 근로자 평균소득이 연간 2만3000달러 정도라면 농민은 1만2000달러에 불과해요.”

농업 문제에 관한 한 달변(達辯)인 홍문표(사진) 농어촌공사 사장도 농어민 지원을 둘러싼 일부 차가운 시선을 부담스러워했다. 잇단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농어촌에 경쟁과 퇴출 논리가 강해지면서 농어민 지원책에 대한 이견이 잦아지고 있어서다.

30일 경기도 의왕시 포일동 농어촌공사 집무실에서 만난 홍 사장은 “당장 기계농업과 과학농업으로의 대체를 추진하는 것은 현실과 맞지 않다”며 “영세 소농이 텃밭이나 논 몇 마지기로 농사를 짓는데 거기에 기업농을 하라면 안 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농어촌 고령화 대응과 경쟁논리 강요라는 안팎의 위기를 동시에 맞닥뜨린 홍 사장이 고심 끝에 해법을 내놓았다. 무조건적인 지원이 아니라 일한 만큼의 보상을 원칙으로 농어촌에 근로여건을 만들어 주자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우선 내년 3월까지 농한기 일자리 8만여개를 만들기로 했다. 가을걷이를 끝낸 농민의 손을 빌려 내년 농사에 쓰일 농업용 수로와 저수지 등의 시설보수작업을 벌이기로 했기 때문이다.

그는 “공사 예산 가운데 유지관리비의 일부인 103억원으로 시설보수작업 일감을 농민에게 나눠주기로 했다”며 “8만여명의 농민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하는데 해당지역에 거주하고, 직접 농사짓는 사람 가운데 저소득 영세농민에게 우선권이 주어지도록 각 지사에 지침을 내려보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지속적인 소득원 창출을 위해 2015년까지 1000여개의 농어촌 공동체 회사도 발굴할 계획이다. 영세 자영농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지역주민이 함께 도농 직거래나 농가 레스토랑 등을 추진하도록 공사 내 창업보육센터를 설치해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농어촌 이탈 현상은 도시 거주자의 주민등록지를 시골로 옮기는 데 몇천만원씩 유인책을 쓴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라며 “농자재 가격 안정, 농사짓는 비용 절감, 농어촌 저수지 주변 개발 등 농사를 짓고 땅을 개발하는 방안을 마련해줘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동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