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개최지 선정 D-1… 한반도 평화·아시아 연대론 내세워 득표전
입력 2010-11-30 22:31
한국은 2022년 월드컵 유치전에서 경기장 시설, 교통체계, 정보통신기술(IT) 등 기반 시설에 더해 ‘동북아 평화’라는 대의명분에 기대를 걸고 있다.
2002년 월드컵 공동 개최로 경기장 시설 등이 우수하고, 고도의 IT 기술 등을 이용한 국제 행사 경험이 풍부한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실제 국제축구연맹(FIFA)의 평가보고서에서도 이 같은 내용이 담겨 있어 다른 후보국들에 비해 비교 우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 받는다.
이에 더해 월드컵이 유일한 분단국가인 한반도에 평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명분도 적극 어필할 계획이다. 유치위원회는 이미 한국 개최 확정 시 북한에 일부 경기를 분산해서 치를 수 있다는 점을 공언해왔다.
특히 동북아 평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한국의 주장은 최근 연평도 포격을 둘러싼 대치 환경에서 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장점이 될 수도 있다는 게 유치위의 설명이다. 오히려 이 같은 상황에서 동북아 평화의 당위성을 역설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개최국 선정을 10일 앞두고 터진 이번 돌발 변수를 두고 집행위원들이 한국의 의도대로 해석해 줄지는 미지수다.
유치위는 ‘아시아 연대론’을 강조해 미국이나 호주를 일찌감치 탈락시킨 후 선정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구상도 최근 밝혔다. 과반수가 나오지 않을 경우 최소 득표국을 빼고 다음 투표를 진행하는 만큼 아시아 3국을 먼저 살린 다음 진검승부를 펼치자는 전략이다.
외신들의 전망은 엇갈리고 있다. 최근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은 스위스 출신의 제프 블래터 FIFA 회장이 2018년은 러시아를, 2022년은 한국을 밀고 있다는 분석 기사를 내놓았다. 블래터 회장은 축구의 힘을 통해 분단국인 남북이 화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을 지지하고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반면 AFP통신은 지난달 27일 2022년 월드컵 유치전에 뛰어든 5개국 가운데 미국과 호주가 2파전을 펼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현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