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국’ 획득 두달 만에… 안동서 구제역 확인 ‘비상’

입력 2010-11-29 21:10

경북 안동 돼지농가의 집단 폐사 원인이 구제역으로 확인됐다. 지난 9월 세계동물보건기구(OIE)로부터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획득한 지 불과 두 달여 만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29일 발병농가 주변 3㎞ 내 소 돼지 양 염소 등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 2만3000여 마리를 살(殺)처분키로 했다고 밝혔다. 발병농가 2곳에서 기르는 돼지는 각각 5500마리, 3500마리다. 그러나 이들 농가가 대규모 양돈단지 내에 위치해 있어 살처분 대상이 크게 늘었다.

현재 구제역 양성 판정을 받는 돼지농가 외에 8㎞ 가량 떨어진 농가의 한우 5마리도 고열과 함께 침을 흘리는 등 구제역 의심 증상을 보이고 있다. 구제역 여부는 30일 정밀진단 결과가 나와야 알 수 있지만 방역당국의 초동대응이 늦었다는 비난은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최초 발병시점인 지난 26일 해당농가 새끼돼지 24마리가 집단 폐사한 후 최종 확진판정이 내려진 이날까지 사흘이나 걸렸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발병 초기인 지난 26일 지방 가축방역기관에서 처음 폐사한 24마리의 새끼돼지에 대한 간이검사 결과 구제역 증상은 나오지 않았다”며 “해당농가의 물탱크 청소에 쓰인 염소소독제 중독으로 인한 장염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의심신고가 접수된 이후 경북도와 안동시에서 의심 가축을 격리조치했고, 가축 차량 사람 사료의 이동통제 조치가 내려져 문제될 것은 없다는 입장이다.

농식품부는 구제역 확진판정이 내려짐에 따라 ‘주의(4단계 가운데 두 번째)’ 단계의 위기경보를 발령했다. 주의 경보가 발령되면 공항과 항만에 대한 국경검역이 강화되고, 관련기관은 상황실을 설치해 상호 협조해야 한다.

이날 구제역 확진판정 소식에 주식시장의 관련주도 크게 출렁였다. 구제역 백신을 생산하는 업체는 물론 닭고기 전문업체 주가도 크게 치솟았다.

정동권 기자 danch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