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장 통합·고신·합신 이단 결의 사항 관련 한기총 해제 움직임에 “일방적 면죄부” 반발

입력 2010-11-28 19:40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가 이단사이비 대책 문제로 내홍을 겪고 있다.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과 고신, 합신 총회의 이단사이비 대책 관계자들은 26일 오후 서울 연지동 한기총 사무실을 방문, 한기총의 이단 해제 시도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고 항의서를 전달했다.

유한귀 통합 이단사이비대책위원장, 박대용 고신 유사기독교연구위원장, 최재운 합신 이단사이비대책위원장은 “한기총은 교단 연합기관임에도 불구하고 특정인과 특정단체를 이단 사이비로 결의할 수밖에 없었던 각 교단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면죄부를 주려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강행 시 모든 책임을 져야 하고 관련 교단들과의 마찰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들은 현재의 한기총 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이대위)의 전문성에 대해서도 의구심을 드러냈다.

예장 통합은 6월 11일과 11월 8일 한기총의 이단 해제 움직임에 대해 유감의 뜻을 담은 공문을 한기총에 접수시킨 데 이어 예장 고신, 예장 백석도 비슷한 내용의 공문을 한기총에 보낸 바 있다.

이와 관련, 한기총 이대위는 지금까지 해온 일에 아무런 하자가 없을 뿐 아니라 회원 교단의 뜻도 존중하고 있다고 했다. 이대위의 독단적인 해제 시도가 없었다는 것이다. 이대위는 이단은 분명 정죄돼야 하지만 특정세력들이 이단감별을 독점, 애꿎은 인물이나 단체들을 이단으로 내몰고 있다는 입장이다.

이번 분란은 한기총 지도부가 자초한 게 크다. 한기총은 15일 임원회에서 장재형 목사의 통일교 관련설, 김광신 목사의 베뢰아 신앙에 대한 이단성 조사연구 건과 관련한 지난달 22일 임원회 결의를 뒤집었다. 지난달 임원회에서는 이대위가 올린 이들에 대한 조사보고서를 반려하고 다음 회기 첫 임원회에서 처리하기로 했었다.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20여일 만에 번복한 것이다. 표면상으로는 2004년 길자연 목사가 대표회장으로 있을 때 장재형 목사에 대한 무혐의 판정을 내렸는데 이를 기억하지 못한다고 한 길 목사의 주장과는 달리 당시 문건에 길 목사의 직인이 찍혀 있는 게 밝혀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임원들은 애매모호한 입장을 나타냈다. 지난 결의는 유효로 하되 다음 달 17일 열리는 임원회에서 이대위가 재조사 결과를 제출하면 재론한다는 것. 이번 회기 내 이 문제를 매듭짓겠다는 지도부의 의지가 읽혀진다. 이와 관련, 길 목사는 28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이번 임원회에서 대표회장 직인이 찍혀 있는 사본을 확인했다. 하지만 당시 총무(박천일 목사)에게 이 같은 사실을 보고받은 적이 없었다”며 “모종의 의도가 있는 게 분명하다”고 말했다.

함태경 기자 zhuanji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