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연평도 도발] “의사자 인정해달라”… 민간인 희생자 유족 장례 거부

입력 2010-11-28 18:41


연평도 민간인 희생자 2명의 의사자 인정을 요구하는 유족들의 목소리가 빗발쳤다. 하지만 정부의 답변이 늦어지면서 희생자 발생 5일째인 28일까지 장례 일정조차 잡히지 않고 있다.

유족 대표들은 이날 장례식장인 인천 구월동 중앙길병원에 모여 정부에 “현행법으로 고인에 대한 의사자 지정이 불가능하다면 정부는 특별법을 제정해서라도 고인을 의사자로 예우해 달라”고 요구했다.

대표들은 “전시에 국가의 보호를 받아야 할 민간인이 국가의 과실에 의해 목숨을 잃은 것”이라며 “같은 사건으로 숨진 군인들은 전사자 예우로 해병대장(海兵隊葬)을 치렀는데 민간인은 장례를 치르지도 못하고 이게 뭐냐”며 분통을 터뜨렸다.

인천시 관계자들은 27일 밤 의사자신청서를 들고 유족을 찾아왔으나 유족은 이들을 돌려보냈다. 시는 고인이 의사자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유족 개인이 보건복지부에 의사자 신청을 해야 한다는 원칙적인 입장이고 유족은 정부가 주도해 고인을 의사자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족 대표들은 “인천시와는 장례문제를 더 이상 협의할 수 없다”면서 “정부가 국가적인 문제로 억울하게 희생된 고인을 특별히 예우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유족들은 중앙 정부로부터 아직까지 어떤 구체적인 대답도 듣지 못하고 있다.

의사자 지정 주무부처인 복지부의 진수희 장관은 이날 유족을 조문한 자리에서 “고인들을 의사자로 지정하려면 의사상자심사위원회의 심사 등 절차를 거쳐야 한다”면서 “의사자 지정 여부에 대해 지금 확답을 할 수는 없지만 유족의 뜻을 반영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민간인 희생자 유족은 이날 고인의 시신을 인도받았으나 손상 정도가 심해 시신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지 않기로 했다.

유족들은 고인의 시신을 인수한 뒤 영정 앞에서 “앞으로 볼 수 없으니까 얼굴이라도 봐야 되는데 보지도 못하고…”라며 오열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