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서관 신분이 독단적으로 ‘확전 자제’ 메시지 전했다?
입력 2010-11-26 18:12
청와대 김병기 국방비서관 경질을 둘러싼 잡음이 이어지고 있다.
청와대는 25일 밤 김태영 국방부 장관과 김 비서관의 사의를 수용했다. 김 비서관이 사의를 표명한 배경은 그가 이른바 북한군의 연평도 해안포 공격과 관련된 ‘대통령 확전 자제 발언’의 진원지로 지목됐기 때문이다.
청와대 내부 조사에 따르면 연평도 포격이 벌어진 23일 오후 지하벙커 회의에 참석하지 못했던 김희정 대변인이 김 비서관에게 이명박 대통령의 발언을 물었고, 김 비서관이 ‘확전되지 않도록 관리 잘하라’는 내용의 쪽지를 전달했다. 김 대변인은 이를 청와대 기자실인 춘추관 관계자를 통해 브리핑했고, 이후 확전 자제 발언은 논란이 되기 시작됐다. 청와대는 이러한 책임을 김 비서관에게 물었다는 설명인데, 석연치 않다는 지적이 많다. 일개 비서관 신분에 불과한 그가 상급자의 승인 없이 독단적으로 청와대 대변인에게 대통령 메시지를 전했다는 게 이해하기 힘들고, 대변인이 이를 확인 없이 브리핑했다는 것도 비상식적이다. 청와대 조사에서는 김 대변인이 다른 청와대 고위 관계자로부터 메시지를 전달받은 뒤 이를 김 비서관에게 재확인 받았다는 진술도 나왔다고 한다. 결국 김 비서관이 ‘총대를 멨다’는 얘기다. 청와대 관계자는 26일 “관련자들의 얘기가 조금씩 다르다고 들었다”며 “추가적인 문책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