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장관 후임 인선 진통… 이 대통령, 또다시 장고

입력 2010-11-26 18:11

김태영 국방부 장관 후임 인선이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당초 26일 오전 후임 장관을 임명할 예정이었다. 이희원 대통령 안보특보가 유력했다. 청와대 임태희 대통령실장은 이 특보 등 복수의 후보군을 불러 모의청문회까지 했다.



그러나 모의청문회 직후 갑자기 분위기가 바뀌었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이 특보가 아닐 수도 있다’는 말들이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여권 관계자는 “25일 밤까지만 해도 이 특보가 유력했는데,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이 최종 결정을 유보했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은 “조금 더 찾아보라”고 인사 관련 참모들에게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후임 장관의 최우선 고려 사항은 ‘군 전반에 대한 개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상징성을 갖춘 인물’인데 이 대통령이 결심을 못하고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모의청문회에서 이 특보에게 결정적인 결격사유가 발견됐다는 얘기도 있었다. 그러나 청와대 관계자는 “이 특보는 재산이 1억원 정도로 결격사유는 없는 것으로 판단됐다”고 말했다. 이 특보도 군 개혁에 대한 전문성과 합리성을 가지고 있지만 ‘더 나은 장관 후보’를 찾으려는 이 대통령의 바람이 강했다는 것이다.

이 대통령 특유의 ‘장고(長考)형 인사’가 재현된 셈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 특보는 여전히 후보 중 한 명이다. 배제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현재 이 특보 외에 김관진 전 합참의장과 한나라당 김장수 의원 등이 검토되고 있다. 김 전 의장은 전북 전주 출신이고, 김 의원은 광주 출신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전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에게 “전주 출신이 국방부 장관이 될 것 같으니 국회 인사청문회를 도와 달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김 전 의장이 다시 물망에 오르고 있다.

김 의원은 대중적 이미지가 좋으나 노무현 정부 시절 국방부 장관을 지냈다는 점이 부담스럽다고 한다. 이 대통령과 호흡이 맞느냐는 문제도 있다. 이 대통령이 막판 고심 끝에 어떤 결론을 내릴지 주목된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