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서해 5도 주민 안전에 만전 기해야
입력 2010-11-26 17:45
북의 집중 포격을 맞은 연평도는 지금 유령의 섬으로 변하고 있다. 1400여명의 주민 중 98%가 피난을 떠나고, 남은 인원은 수십 명에 불과하다. 현지를 취재한 기자는 폐허 속에 화약 냄새만 진동하는 연평도가 전쟁영화 세트장 같았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는 엄연한 실제 상황이다. 민가를 포격한 북한의 망동으로 연평도는 이제 사람이 살기 힘든 땅이 됐다. 연평도뿐만 아니라 백령도 주민들도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이미 그곳에서도 탈출 러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는 우선 연평도 주민들을 보듬는 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당장의 숙식 문제 해결은 물론이고 필요하면 특별법을 제정해서라도 피해복구비와 치료비 지원에 한치의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휴업 중인 이 지역 학생들의 다른 학교 배치와 수업결손 문제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문제는 앞으로 연평도를 비롯한 서해 5도의 주거 안전을 어떻게 확보하느냐는 것이다. 북의 추가 도발이 우려되는 서해 한·미 연합훈련이 끝나면 많은 주민들이 삶의 터전으로 돌아간다 하더라도 마음 편하게 살기는 힘들 것이다. 언제 폭탄이 떨어질지 모르는 공포 속에서 밤잠인들 제대로 자겠는가. 심지어 연평도 주민 대표기구인 연평주민비상대책위원회는 “안전 대책을 마련해 준다 해도 다시 살 생각이 없다”며 이주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그렇다고 원하는 사람들을 다 이주시키기도 어려울 것이다. 대거 빠져나올 경우 잔존 주민으로는 필요충분한 공동체 형성이 힘들 수 있다. 서해 5도를 아예 무인도화할 수도 없지 않은가.
일단 연평도 등 서해 5도에 북의 포격에 대비한 방공 및 대피 시설을 철저히 갖춰야 한다. 아울러 북의 동향에 대한 감시를 강화해 조금이라도 이상 징후가 파악되면 긴급 대피할 수 있도록 경보 시스템을 확고히 구축해야 한다. 이에 대한 평상시의 교육과 훈련도 필수다.
4대 의무를 다하고 있는 대한민국 국민은 그 어디서든 안전하게 살 권리가 있다. 정부는 이들의 안전을 위해 가능한 모든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