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연평도 도발] 국방장관 경질… ‘軍 대응’ 비난 여론 막기 불가피한 선택

입력 2010-11-26 02:19

이명박 대통령이 25일 김태영 국방부 장관의 사의를 수용한 것은 사실상 경질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전쟁 중에는 장수를 바꾸지 않는다’는 원칙에 비추면, 연평도 포격 사건 발생 이틀 만에 전격적으로 사의를 수용한 것 자체가 이례적이다. 이 대통령이 지난 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과 이에 대한 우리 군의 대응에 문제가 있었다고 판단한 듯하다. 천안함 사태 이후에 계속 벌어진 군 관련 사고, 연평도 공격에 대한 우리 군의 대응의 문제점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했다는 의미다.

이 대통령과 청와대는 천안함 사태 이후 장기적인 군 개혁 프로그램을 추진해왔다. 국가안보총괄점검회의를 만들어 군 개혁 과제를 선정했고, 국방선진화추진위원회를 대통령 직속 기구로 승격해 군 개혁 작업을 총괄하게 했다. 하지만 그 와중에 다시 연평도 공격 상황이 발생했고, 군이 적절하게 응전했느냐는 논란은 오히려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대통령으로서는 김 장관을 교체함으로써 분위기를 쇄신할 필요성이 강해졌다. 여기에 김 장관은 24일 국회 답변을 통해 이 대통령의 ‘확전 방지’ 발언을 확인하는 듯한 언급을 해 논란을 확산시켰고, 청와대와 조율되지 않은 ‘전술핵 배치 검토 발언’으로 파장을 일으키기도 했다. 청와대는 당시 김 장관을 강하게 질책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장관 역시 지난 5월 1일 사의를 표명한 이후 마음을 비운 상태였다는 것이 청와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후임 장관은 안팎으로 비판받는 군 분위기를 쇄신하는 한편, 천안함 사태와 연평도 포격 도발로 불거진 여러 구조적인 문제들을 개혁해야 한다는 이중의 과제를 안고 있다. 청와대도 이러한 콘셉트에 맞는 인물들을 대상으로 후보군을 선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26일 2명의 후보군을 대상으로 자체 예비청문회를 실시한 뒤 문제가 없을 경우 내정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후임 장관으로는 이희원 대통령 안보특보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특보는 경북 상주 출신으로 부산고를 나와 육사 27기로 임관,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등을 역임했다. 천안함 사태 이후 대통령 안보 특보에 임명됐으며, 최근에는 이 대통령으로부터 군 개혁 작업을 주도하라는 지시를 받은 바 있다. 육사 24기로 이 대통령 취임 초부터 지근거리에서 보좌해온 김인종 대통령 경호처장, ‘꼿꼿 장수’로 통하는 한나라당 김장수 의원 등도 후보군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특보와 김 처장 모두 전문성을 갖춘데다 이 대통령의 군 개혁 방향을 잘 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청와대 내부 출신이라는 점이 부담이라는 지적도 없지 않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