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연평도 도발] 野 “대북강경 외교안보라인도 교체해야”

입력 2010-11-25 22:04

연평도 해안포 공격에 대한 정치권의 책임 공방이 외교안보라인의 교체 논란으로 확대될 조짐이다.

민주당 차영 대변인은 25일 이명박 대통령이 김태영 국방부 장관의 사의를 수용한 것과 관련, “당연한 조치”라고 말했다. 차 대변인은 이어 “강경한 대북 정책의 희생자는 대한민국 군인과 국민이었다”며 “국방부장관뿐 아니라 대북강경 정책을 내세웠던 외교안보라인의 전면 교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동영 최고위원도 “한반도는 번번이 안보 위기로 출렁거리고 지금 국민들은 피난 보따리를 싸는 지경까지 왔다”며 “이 대통령은 사과하고 외교안보팀을 전면 퇴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신속한 인사 조치에 다소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이날 오후까지도 사태를 수습한 뒤 잘잘못을 따지는 것이 순서라는 분위기였기 때문이다. 안상수 대표는 오후 의원총회에서 “영토와 민간인이 공격당한 직후인 지금은 준전시 상황이고, 일에는 선후가 있다”며 “내부의 잘잘못을 따질 때가 아니라 사태를 수습하고 국론을 통일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몇 시간 뒤 이 대통령은 김 국방장관의 사의를 전격 수용했다.

배은희 대변인은 사의 수용 이후 “이 대통령께서 여러 가지를 고려해 잘 판단하신 것으로 믿는다”며 “향후 사태 대응에서도 한 치의 흐트러짐 없이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 대변인은 “후임 장관 인사청문회에 여야가 초당적으로 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여야는 앞서 이번 사태의 근본 원인을 두고 각각 지난 정권의 햇볕정책과 이명박 정부의 안보 무능을 지목하며 맞섰다.

연평도 등 서해 5도가 지역구인 한나라당의 박상은 의원은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햇볕정책은 실패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 의원은 “김대중과 노무현 정권이 북한에 퍼준 40억 달러가 로켓포로 돌아왔다”며 “금강산 관광객 박왕자씨 피살 사건과 연평도 주민 무차별 포격 사건이 이를 증명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오전 고위정책회의에서 “유연한 대북정책을 썼던 과거 민주 정부 10년 동안 이런 불상사는 없었다”며 “도대체 ‘병역미필’ 정권은 언제까지 이렇게 허울 좋은 안보를 내세울 것이냐”고 말했다.

같은 당 안규백 의원은 국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현 정부의 ‘이에는 이, 눈에는 눈’식 대결 정책은 한반도를 중동처럼 화약고로 만들 수 있다”면서 “이 대통령은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위해 북한과 대화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강주화 유성열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