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연평도 도발] 피난 주민들 “당장 갈아입을 속옷도 없다”… 100여명 이주·숙식 대책 요구
입력 2010-11-25 21:32
인천시와 옹진군은 북한의 해안포 공격으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 대한 복구지원 및 보상 대책에 나섰다.
그러나 인천으로 피난 온 주민들은 “돌아가지 않겠다”며 이주 및 숙식대책을 세워 달라고 요구해 마찰을 빚고 있다.
25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연평도 주민 100여명은 이날 인천 옹진군청에서 열린 ‘송영길 인천시장과의 대화’에서 “연평도에 다시 들어간다고 해도 포탄 소리가 들릴 때마다 불안해서 살 수 있겠느냐”면서 “연평도 주민의 70∼80%가 이주를 원하고 있다”며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이들은 또 “지금 당장 갈아입을 속옷도 없다”면서 “인천에서의 숙식 문제 등 당장의 생활 지원에 대한 답변을 달라”고 주장했다.
이에 송 시장은 “연평도 주민들을 위해 ‘서해5도 지원 특별법’과 방공호 건립계획 등을 추진 중이었으나 주민들 이야기를 들어보니 특별법이나 방공호는 연평도 주민들의 거취가 정해지고 나서 추진할 문제”라며 “연평도를 비롯한 서해5도에서 주민을 완전 이주시키든지, 영구 거주할 수 있는 대책을 세우든지를 결정해야 하는 시점인 것 같다”고 답했다.
송 시장과 함께 있던 조윤길 옹진군수는 “행정안전부에서 구호기금 용도로 교부한 10억원을 최대한 빨리 집행하고, 앞으로 숙박비는 100%와 1인당 1일 식비 3만원을 지원하겠다”며 주민들을 달랬다.
하지만 일부 주민들은 “북한에는 차떼기로 퍼주면서 국민들의 편안한 삶을 위해 희생한 연평도 주민들에게는 고작 찜질방뿐이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인천시교육청은 인천으로 대피한 초·중·고교 학생 128명과 어린이와 유치원생 15명 등 전체 연평도 학생 143명 중 121명을 각급 학교와 유치원에 배치했다. 연평도에 잔류한 학생 1명과 이날까지 거주지 미확정으로 학교를 배정받지 못한 학생 22명은 이번 주 중으로 학교를 배정받을 계획이다.
한국전력이 연평도 내 866가구 중 단전된 420가구 대부분의 전력망을 복구하는 등 기반시설 복구공사 및 보상 대책 마련도 본격화됐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