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연평도 도발] 李대통령, 긴급 안보·경제회의 2시간 내내 굳은 표정
입력 2010-11-25 18:10
이명박 대통령은 25일 청와대에서 긴급 안보·경제점검회의를 주재했다. 회의는 북한의 연평도 공격으로 희생된 군 장병과 민간인들을 애도하는 묵념으로 시작됐다. 이 대통령은 2시간가량의 회의 내내 굳은 표정이었으며 무거운 긴장감 속에 회의가 진행됐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회의에서는 북한의 연평도 공격 이후 정부의 종합적인 대책들이 검토됐다. 군사 분야, 외교 분야, 대북지원 분야, 경제 분야 대책들이다. 교전규칙과 관련, 기존 교전규칙이 확전방지에 비중을 두었기 때문에 소극적인 측면이 있었다는 평가들이 나왔다고 한다. 북한의 도발에 대응하는 발상 자체를 바꿀 수 있는 교전규칙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정부는 교전규칙을 개정하고 서해 5도상의 전력 강화를 위한 예산을 최우선적으로 투입키로 결정했다.
경제 대책과 관련,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북한 도발에도 불구하고 국내 금융시장이 빠르게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고 보고했다. 정부는 금융시장이 일단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유지키로 결정했다. 또 해외언론과 투자자, 신용평가기관 등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안보 불안감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회의에서는 북한의 연평도 공격에도 생필품 사재기 현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은 우리 경제 펀더멘털(기초여건)과 성숙한 시민의식 때문이라는 평가도 나왔다고 한다.
정부는 주민안전대책도 종합 점검한 뒤 개선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주민 지원 방안과 대피시설 보강 작업 등을 신속히 진행해 주민들의 불안감을 없애는 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한 참석자는 “외교적 대책으로는 중국의 건설적인 역할과 기여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들을 계속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대북지원은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키로 했다. 홍상표 홍보수석은 브리핑을 통해 “정부는 민간단체의 대북지원과 관련해 국민정서와 남북상황 등을 검토해 지원 여부를 좀 더 엄격히 검토해 나갈 것”이라며 “(천안함 사태 관련) 5·24 대북조치도 지속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 “정부와 군 관련자들은 긴장을 늦추지 말고 만일의 사태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지시한 뒤 “그러나 경제활동을 비롯한 일상적인 활동은 정상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그렇게 하는 것이 우리 사회의 안정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회의에는 김황식 국무총리,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 김태영 국방부 장관,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