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연평도 도발] “종 치고 끝난 뒤 무슨 단호한 대책!”
입력 2010-11-24 21:58
정치권은 24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에 대한 정부와 군의 초기 대응을 일제히 성토했다. 특히 한나라당과 자유선진당 등 보수정당 소속 의원들의 목소리가 컸다.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는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우리 영토를 직접 공격하고 민간인까지 공격 대상으로 삼은 잔인무도한 공격은 전쟁행위”라며 “추가 도발에 대해선 몇 배의 강력한 응징이 이뤄질 수 있도록 준비태세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해병대 출신의 홍사덕 의원은 일부 청와대 참모 등을 겨냥, “반드시 해임하도록 대통령에게 강력히 건의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홍 의원은 “북한의 포격 직후 대통령으로 하여금 ‘확전하지 말고 상황을 잘 관리하라’고 말씀하도록 한 청와대와 정부 내 ×자식들에 대해 한 말씀을 드리겠다”며 “그런 대응을 하도록 주변에서 잘못 오도했던 참모들을 이참에 청소해야 똑같은 상황의 재발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열린 의원총회에서도 강경 대응을 주문하는 발언이 쏟아졌다. 송광호 의원은 “북한으로부터 공격을 받은 후 한 시간 동안 우리 군대는 무엇을 했는가, 종 치고 다 끝난 뒤 무슨 단호한 대책인가”라며 초기 대응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박근혜 전 대표도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도발에 대해 큰 대가가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면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자위권 차원에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는 “외교·군사적 대응 등 모든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며 “북한의 추가도발 징후가 보인다면 철저하게 응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자유선진당 이회창 대표도 “단순한 무력도발이 아니라 전쟁 도발행위이고 군인과 민간인까지 무차별 살상한 전쟁 범죄행위”라며 “상대를 압도하는 반격과 무력제재로 북한의 무모한 도발 의지와 간계를 분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의 공격 직후 이 대통령이 ‘확전 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라’고 했다는 보도와 관련, “이런 말은 공격자를 압도해야 할 상황에서 적을 이롭게 하는 이적 발언”이라며 “대통령의 말처럼 언론에 보도된 경위를 규명해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등 상임위에서도 정부와 군의 대응을 질타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국방장관 출신인 한나라당 김장수 의원은 “훈련 계획을 세워서 다시 포 사격 훈련을 해야 한다”며 “북한이 또 도발하면 초토화시킬 수 있는 태세를 갖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승훈 유성열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