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연평도 도발] 개성공단 등 北지역 체류 국민 신변 보호령

입력 2010-11-24 22:12

정부 부처들은 24일 북한의 연평도 해안포 공격에 따른 후속 조치를 마련하느라 정신없는 하루를 보냈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군은 물론 민간인에게도 큰 피해를 준 무모한 도발과 개탄스런 만행에 대해 경악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면서 “연평도를 비롯해 서해 5도 지역의 주민 안전을 위해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하라”고 지시했다. 아울러 “금융시장, 환율, 수출입 동향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국민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회의에는 윤증현 기획재정, 최경환 지식경제,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과 임채민 총리실장 등이 참석했다.

통일부는 대북 수해 지원을 중단했다. 천해성 통일부 대변인은 “영유아 등 취약계층 지원은 천안함 사태 후속 조치인 5·24조치 이후에도 개별적으로 승인했었다”면서 “일단 승인했던 물량에 대해 반출을 잠정 중단토록 했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오전 비상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하고 북한에 체류한 우리 국민의 신변 안전을 점검했다.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개성공단과 금강산 지역에 있는 우리 국민의 신변안전 강화 조치를 하달했다”고 말했다.

외교통상부는 국제사회의 협력을 이끌어내는 데 주력했다. 김성환 장관은 마에하라 세이지(前原誠司) 일본 외상과 전화 통화를 갖고 협조를 요청했다. 김재신 차관보도 서울 주재 각국 대사 90여명을 외교부로 불러 상황을 브리핑하고 협조를 당부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부도 검토하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관련국들과 의견을 교환하면서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며 “유엔 차원에서 반기문 사무총장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고, 안보리의 이번달 순회 의장국인 영국의 마크 라이얼 그랜트 유엔대사가 안보리 이사국들과 의견을 교환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정부는 천안함 외교전 당시 유엔 안보리를 통한 응징을 추진했으나 중국과 러시아의 미온적인 태도로 큰 소득이 없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런 와중에 북한은 금강산 관광 회담을 남측에 촉구하고 나섰다.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의 인터넷 웹 사이트 ‘우리민족끼리’는 “남조선 당국이 진정 북남관계 개선에 관심이 있다면 부당한 구실에 매달리지 말고 관광 재개를 위한 회담탁(테이블)에 나와야 한다”면서 “우리는 악화된 북남관계를 풀고 민족적 화해와 단합을 실현하기 위해 대화와 관계 개선의 문을 열어놓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