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전되지 않게”→ “단호한 대응” → ”北 미사일기지 타격” MB, 발언 강도 높여

입력 2010-11-24 02:18

이명박 대통령은 23일 북한의 연평도 해안포 공격에 강경 발언을 쏟아냈다.

청와대는 사태 초기 이 대통령의 발언을 공개하지 않았다. 오히려 대통령이 “단호히 대응하되, 확전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다고 브리핑했다. 이 발언으로 이 대통령이 북한에 대한 응징보다는 ‘확전 방지’에 무게를 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돌았다.

이후 홍상표 청와대 홍보수석이 “‘확전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라’는 발언은 잘못 알려진 것”이라고 해명하면서, 이 대통령의 ‘단호한’ 발언들이 언론에 공개되기 시작했다.

이 대통령은 청와대 위기관리센터 상황실에서 합동참모본부로부터 북한의 해안포 공격 상황을 보고받고는 “몇 배로 응징하라”고 지시했다고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북한이 해안포 도발을 감행했다는 보고를 받은 직후 청와대 지하에 있는 위기관리센터 상황실로 이동했고, 긴급 수석비서관회의와 외교안보장관회의를 잇따라 소집했다. 합참 해군작전사령부 항공작전사령부 등 군 수뇌부와 화상 회의를 갖고 시시각각 달라지는 상황을 보고받았다.

이 대통령은 이날 밤 8시37분쯤 전격적으로 서울 용산 합참 지휘통제실을 방문했다. 지난 3월 30일 천안함 실종자 구조 현장인 백령도를 방문할 당시 입었던 태극마크가 달린 가죽점퍼를 입은 상태였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군의 단호한 대응을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군은 성명서를 발표하는 행정적인 것보다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 성명서나 회담보다 행동으로 보이는 것이 군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군은 다른 것을 생각하지 마라. 책임은 정부가 진다. 여러분은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고도 주문했다. ‘다시는 도발할 수 없는 막대한 응징’ ‘도발 응징’ ‘교전 수칙을 뛰어넘는 대응’ 등의 표현도 등장했다.

이 대통령이 이런 발언들을 쏟아낸 것은 천안함 사태의 ‘학습효과’도 있는 듯하다. 당시 이 대통령은 천안함 침몰 원인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다가 미온적이라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이 때문에 군의 강력한 맞대응을 주문하며 천안함 때와는 다른 모습을 보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그러나 벌써부터 보수층을 중심으로 정부와 군이 이번에도 북한에 직접적인 대응을 못한 채 ‘추가도발 시 강력 응징’이라는 수사(修辭)만 되풀이하고 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이 대통령의 향후 대응이 주목된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