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연평도 포격] “민간인 피해 용납못해”… 외교부, 안보리 회부 검토

입력 2010-11-23 22:39

청와대와 정부는 23일 오후 북한의 연평도 포격에 위기대응 시스템을 가동하고 긴박하게 대응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북한이 해안포 도발을 감행했다는 보고를 받고 청와대 지하에 위치한 위기관리센터로 이동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긴급 수석비서관회의와 외교안보장관회의를 잇따라 소집했으며, 합동참모본부 해군작전사령부 항공작전사령부 등 군 수뇌부와 화상회의를 갖고 시시각각 달라지는 상황을 보고받았다. 특히 북측의 유례없는 육상 국지도발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긴밀히 움직였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전 공무원에게 비상대기령을 내렸다. 김 총리는 국회 예결위 회의에서 “연평도에 북한의 포사격이 계속되는 비상상황이다. 총리께서 비상국무회의를 주재하셔야 한다”는 이재오 특임장관의 쪽지를 받았다. 이에 김 총리는 예결위 여야 간사에 정회를 요청했다. 정회 후 김 총리 와 각 부처 장관들은 국회 국무위원 대기실에 모여 북한 도발상황을 점검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국회에 머물던 원세훈 국가정보원장도 청와대 외교안보장관회의에 참석했다. 원 원장은 북한군 도발 징후와 피해 상황을 묻는 여야 의원들의 질문에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는 남북 적십자회담을 무기한 연기했다. 남북은 오는 25일 우리 측 지역인 파주시 문산읍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에서 만나 이산가족상봉 정례화 등을 논의할 계획이었다.

통일부는 특히 북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에 대한 신변 안전조치에 집중했다. 개성공단 관리위원회와 현대아산 사업소에 체류 인원에 대한 신변 안전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고, 24일 하루 동안 우리 기업 관계자들의 개성공단 방문을 금지했다. 이에 따라 24일 개성공단으로 들어갈 예정이던 495명의 방북은 불허된다. 그러나 개성공단에서 돌아올 예정인 487명의 귀환은 정상적으로 진행된다. 23일 개성공단에는 764명, 금강산지역에는 14명이 남아있다.

외교통상부는 본부와 재외공관에 비상대비 태세를 유지토록 긴급 지시했다. 24시간 비상종합상황실을 본부에 설치했다. 또 미국 일본 영국 등 우방국에 이번 사태는 ‘북한의 명백한 도발’이라는 점을 설명했다. 김성환 외교부 장관은 주한 일본, 중국, 러시아 대사를 각각 외교부 본부로 불렀다. 김 장관은 특히 중국과 러시아에 대해 ‘책임 있는 역할’을 요청했다.

외교부는 재외공관에 훈령을 보내 이번 사태가 북한의 도발이며 특히 민간인에 대해 무차별 포격을 가한 것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는 우리 정부 입장을 주재국에 설명토록 지시했다.

외교부 김영선 대변인은 “이번 사안은 정전협정, 남북기본합의서 및 남북불가침 협정을 위반하고 유엔 헌장에 저촉되는 것으로 규정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정부가 이번 사안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고려할 사항들이 있기 때문에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전반적으로 검토, 판단해서 어떤 것이 효과적인 방안이 될지 판단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경찰 수뇌부는 긴급회의를 열고 인천지방경찰청에 ‘갑호 비상’을 발령했다. 최상위 비상령인 갑호 비상이 발령되면 모든 경찰관이 비상근무에 들어간다. 경찰청은 또 인천경찰청을 제외한 나머지 경찰관서에 경계 강화를 지시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