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늘리기… 광주 區 경계조정 해법 찾나

입력 2010-11-22 18:41

광주지역의 해묵은 현안인 자치구간 경계조정 문제가 수면 위로 다시 떠오르고 있다.

동구가 지역구 국회의원 선출 하한선인 인구 10만4000명 이하의 지자체로 전락할 위기에 놓이자 명운을 걸고 30년 전에 북구에 떼어준 두암동과 풍향동을 되찾겠다고 벼르고 있기 때문이다.

인접한 서구 역시 주민등록상 인구가 현재 추세대로 줄어들 경우 2012년 총선에서 국회의원 의석이 2석에서 1석으로 줄어들지 모른다며 구간 경계조정 논란에 가세했다.

동구는 지난달 말 현재 인구가 10만2782명으로 10만명이 붕괴되기 직전이라고 22일 밝혔다. 과거 ‘호남정치 1번지’로 충장로와 금남로 등 번화가가 불야성을 이루던 이곳은 1980년 개청한 북구청에 두암동과 풍향동을 떼어줄 때만해도 21만명이 거주하는 광주의 중심구였다.

하지만 이제는 전남도청의 전남 무안이전 등을 계기로 도심공동화가 빨라지면서 인구가 30년만에 반토막이 됐다. 동구청은 인구 2만명이 넘는 두암동과 8000명인 풍향동만 돌려받을 게 아니라 이 참에 계림동과 골목길 건너로 동구 생활권인 중흥동까지 넘겨받아 안정적 인구수준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서구 역시 지난 총선 때 국회의원 2명 선출을 위한 기준선 31만2000명을 간신히 넘겼지만 현재 30만4000명 수준으로 인구가 줄었다면서 구간 경계조정이 시급하다는 주장에 동조하고 있다.

반면 46만900여명의 거대 자치구로 성장한 북구는 “2007년에도 성사직전까지 갔지만 북구의회가 반대 결의안을 내면서 무산된 적이 있다”며 느긋한 자세로 정치권 등의 반응을 지켜보고 있다.

이에 대해 광주시 관계자는 “동구와 북구만의 문제가 아닌 광주 5개 자치구 전체의 균형적 발전을 꾀하기 위해 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이 머리를 맞대고 상생의 지혜를 짜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