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9단들도 못푼 ‘대포폰 정국’ 방정식

입력 2010-11-21 18:34


한나라당 김무성,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가 21일 다시 머리를 맞댔다. 세종시 수정안, 스폰서 검사 특별법, 유통·상생법 처리 등 주요 고비마다 대화 정치로 파국을 막았던 만큼 이들의 만남에 거는 기대는 컸다. 하지만 두 정치 고수도 청와대에 검찰, 예산 변수까지 겹쳐 있는 ‘대포폰 대치정국’이라는 고차방정식을 푸는 데는 시간이 더 필요한 듯하다.

이날 오후 국회 운영위원장실에서 비공개로 이뤄진 두 원내대표의 만남은 30분 만에 큰 성과 없이 끝났다.

회담에서는 협상보다 주로 상대를 설득하는 분위기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서로의 요구를 각 당 지도부와 상의하기로 해 입장차만 확인한 지난 19일 만남보다는 한발 나아갔다는 평가다. 김 원내대표는 회담 직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예산만큼은 정해진 일정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참여해 달라고 간곡히 요청했고 야당에서는 ‘차명폰’과 관련해서 국정조사를 요구했다”며 “(민주당의 요구를) 당 지도부와 상의해보겠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우리도 지도부와 상의해서 좋은 방향으로 풀어가겠다”고 했다.

회담 분위기도 강경했던 지난 만남보다 한층 누그러진 것으로 보인다. 김 원내대표는 “마음을 열고 대화했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김 원내대표와) 인간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신뢰하고 존경하는 사이”라며 “지금까지 한번도 싸우지 않고 대화로 협력하고 양보했기 때문에 이번에도 잘 풀리지 않겠느냐는 희망을 가지고 있다”고 거들었다. 회담에 앞서 정치권에선 이번만큼은 두 원내대표가 ‘통 큰’ 결단을 내리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많았다. 민주당 손학규 대표가 대포폰 국정조사를 요구하며 농성카드를 꺼내들었고, 청와대 역시 국정조사나 검찰 재수사 불가론을 펴고 있는 상황에서 두 원내대표가 접점을 찾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양당 원내대표가 이날 회담에서 상생 가능성을 열어뒀지만 꼬인 정국을 풀 수 있는 해법이 이른 시일 내에 나올지는 미지수다.

한장희 유성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