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과학 장학생’ 뽑아 5년간 지원
입력 2010-11-19 18:27
대통령 자문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이하 자문회의)가 19일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한 ‘세계 중심 국가를 향한 인재육성방안’의 골자는 초·중등 교과교육과정 개편과 젊은 과학자 집중 지원 두 가지다.
초·중등 교과교육과정 개편의 키워드는 창의력과 인성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과 학습의 질 향상이다. 자문회의는 이를 위해 주제별 융합 교육을 강화하고, 현행 주입식 위주의 학습량을 20% 이상 감축해 수업 혁신을 유도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또한 글쓰기, 말하기 등 의사소통 능력 강화를 위해 국어와 영어 등 언어교육을 개편하고 현장 주도형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 체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실용탐구활동을 중심으로 한 과학·기술·공학·수학(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내실화 방안도 건의됐다. 물론 자문회의의 건의가 그대로 확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교육 개혁 방안은 아직 건의 수준이며, 확정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의 논의가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회의에서는 젊은 과학자들을 지원하는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는 후문이다. 특히 세계 주요 20개국(G20) 회원국 중 과학 관련 노벨상 수상자가 없는 곳은 우리나라와 멕시코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 터키 등 6개국뿐이라는 얘기도 나왔다고 한다.
이 대통령은 과학기술 지원과 관련,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누가 위원장이 되더라도 내가 직접 관심을 가지고 챙겨보겠다”고 말했다고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비상설 자문기구였던 국가과학기술위는 지난달 연구개발(R&D) 관리 및 예산 배분 권한 등을 가진 상설 기구로 개편 방침이 결정됐고, 관련법 국회 통과 이후 내년 상반기 정식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 대변인은 ‘대통령 기초과학 장학금’ 제도 신설과 관련해 “젊은 과학자들에게 일자리와 연구비를 정부가 안정적으로 지급하자는 것”이라며 “구체적인 인원과 지원금액은 예산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회의에는 김도연 자문회의 부의장과 박범훈 중앙대 총장을 비롯한 자문위원,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이 장관은 “통계청에 따르면 3/4분기 사교육비가 전년 동기 대비 2.9% 감소했다”며 “이명박 정부가 출범 초기부터 일관되게 추진해 온 사교육 대책의 효과가 나오고 있으며, (집권) 4, 5년차에는 체감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