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관계 대립 대구-경북 ‘위태로운 밀월’

입력 2010-11-18 21:06

취수원 낙동강 상류 이전·R&D특구 구역획정 등 이견

지역의 각종 현안사업에 대해 한 목소리를 내며 공조를 과시해 온 대구시와 경북도의 ‘밀월관계’에 이상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대구시의 취수원 낙동강 상류 이전추진과 대구 연구·개발(R&D)특구 구역 획정 등을 놓고 지역 간 이해가 서로 엇갈리면서 마치 양측이 충돌하는 듯한 모양새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는 최근 대구 R&D특구 구역 획정안을 마련, 이달 말쯤 지식경제부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지난 5월 정부에 제출한 당초 안에서 성서 1·2차 산업단지와 대구 첨단의료복합단지, 경산 1·2차 산업지구 등이 빠졌다. 이에 따라 특구 규모는 54.197㎢에서 24.139㎢(대구 17.938㎢, 경산 6.201㎢)로 줄었다.

문제는 이 획정안에 경북도 소유인 산격동 도청 부지 13만9000㎡와 학정동 경북도 농업기술원 일부 부지 46만2000㎡가 포함됐다는 것이다.

경북도는 대구시가 충분한 사전협의 없이 이 같은 안을 마련한 것에 불만을 드러냈다. 경우에 따라서는 대구시가 추진하는 R&D특구 지정에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뜻을 내비치고 있다.

갈등의 배경에는 ‘돈 문제’가 깔려 있다. 특구로 지정되면 보상가가 시세 보다 낮아 경북도가 이들 부지를 팔아 도청 이전비용에 보태려던 계획에 차질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경북도는 2014년 상반기까지 도 청사를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원으로 옮길 계획이다. 도청 터는 일반주거지역 2종으로 ㎡당 120만∼130만원 대에 거래돼 시가로 1600억∼1700억원 대로 추산된다.

경북도 정책기획관실 관계자는 “이 문제를 놓고 시·도 관계부서 간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면서 “아직 어떻게 대응할 지에 대한 도 차원의 입장은 정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여기에다 대구시가 취수원을 구미시 도개면 일선교 인근으로 옮기려는 계획도 갈등을 키우고 있다. 이 계획에 구미시가 반발한데 이어 최근 김관용 경북지사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경북도의회가 취수원 이전 반대 결의안을 전원 만장일치로 채택했기 때문이다.

대구시의회는 최근 열린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안일한 시 행정을 질타하고 구미시와의 갈등을 장기화해서는 안된다고 중재에 나섰다. 대구경북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대구와 경북의 긴밀한 공조는 지역 공동발전을 위해 필요한 부분이지만 이해가 상충하는 사안에 대해서는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