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시 생필품 값 관리” 등 정부 긴급 대책 발표 약효… 치솟던 中 물가 급속 안정

입력 2010-11-18 22:28

중국 정부가 최근 식료품을 중심으로 물가가 급등하자 필요시 중요 생활필수품에 대한 임시 가격관리조치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등 긴급 종합물가 대책을 발표했다. 당국의 물가 통제 의지가 반영되면서 물가는 빠르게 안정세를 되찾아가는 모양새다.



중국 국무원은 17일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주재로 상무위원회를 개최해 물가안정을 위한 정부 차원의 ‘4대 대책’을 마련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18일 보도했다.

국무원은 필요한 경우 중요 생필품과 원자재 가격에 대해 임시적으로 관여할 수 있게 하는 등 정부의 직접 통제가 가능하도록 한다고 밝혔다. 또 최근 공급 부족으로 대란으로 이어진 경유를 무제한 공급키로 하고, 물가 상승으로 고통을 겪는 도시와 농촌의 저소득층과 학생식당에 대해 임시 식료품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식료품, 석유 등 각종 상품의 공급을 확대해 가격 안정도 도모하기로 했다.

중국에선 지난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25개월 만에 최고치인 4.4%를 기록하는 등 물가에 비상이 걸렸었다. 하지만 당국의 대책 발표 이후 물가상승을 견인했던 채소 설탕 등 주요 식료품 가격 등이 줄줄이 하락세로 돌아섰다고 광주일보(廣州日報)가 18일 보도했다.

지난 10일 t당 7450 위안까지 치솟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설탕은 17일 주산지인 광시(廣西)에서 t당 6600위안 안팎의 가격을 형성하며 11% 하락했다. 상추를 비롯한 채소 가격도 최고가 수준에서 50% 내린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자연재해에 투기까지 겹치면서 농산물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폭등했으나 소비자의 외면과 당국의 강력한 시장 개입의지로 하락폭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베이징=오종석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