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한폭탄’ 아일랜드에 해결사 투입?

입력 2010-11-17 18:13

국제금융시장의 시한폭탄이 되고 있는 아일랜드 사태를 다루기 위해 국제통화기금(IMF)과 유럽중앙은행(ECB), 유럽집행위원회(EC)의 전문가 팀이 이번 주 현지로 급파된다.

아일랜드 정부는 여전히 구제금융 수용을 거부하고 있지만 IMF 제안을 수용해 이들 국제 파견단과 구제금융이 필요한지에 대해 ‘단기간 집중협의’를 하기로 합의했다고 영국 BBC방송 등이 17일 보도했다. 이 같은 합의는 사태를 스스로 해결하겠다는 아일랜드 정부의 희망과는 거리가 멀어지는 것이지만, 구제금융 수용에 대한 협상 타결 여지를 열어두는 것이라고 AFP통신은 진단했다.

올리 렌 EU 경제·통상담당 집행위원은 브뤼셀 유로존 재무장관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에서 “국제파견단 임무는 은행 구조조정에 집중될 것”이라면서도 “아일랜드가 피난처를 찾을 태세가 돼 있다”고 말해 여운을 남겼다.

장 클로드 융커 유로존 재무장관회의 의장은 “아일랜드가 수일 내 구제금융 수용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이런 상황에서 유럽 경제강국들의 태도가 새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조지 오스본 영국 재무장관은 17일 유로존 회의를 확대한 유럽연합(EU) 27개국 재무장관 회의에 합류했다. 영국은 지난 봄 그리스 위기 때 유로존 구제금융기금인 유로안정기금 참여를 거부했으나 이번엔 아일랜드 은행 부실에 노출된 정도가 적지 않아 상황이 다르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지적했다.

독일 라이어 브뤼더레 경제장관은 16일 유로존 재정위기와 관련, “EU는 헬리콥터에서 돈을 살포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독일 집권여당인 기민당의 원내부대표 미카엘 마에스터는 “아일랜드는 EU 평균에 못 미치는 법인세율(12.5%)부터 올려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손영옥 선임기자 yosoh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