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 영토 분쟁지 방위력 대폭 강화

입력 2010-11-17 21:34

中, 헬기 탑재한 최신형 어업지도선 동중국해 파견

일, 센카쿠열도에 ‘연안감시대’ 설치 등 적극 검토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열도) 영유권 문제로 다툼을 벌이는 중국과 일본이 영토분쟁을 겨냥한 자국 방위력 강화에 적극 나서 다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중국은 각국과 영유권 분쟁이 빚어지고 있는 동중국해에 중국의 해양주권을 수호하고 어민들의 합법적인 권익을 더욱 확실히 보장하기 위해 처음으로 헬리콥터를 탑재한 최신형 어업지도선을 출동시켰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17일 보도했다.

‘중국어정(漁政) 310호’인 이 어업지도선은 동중국해에서 순시 및 어선보호 활동을 펼친다. 향후 남중국해 남사군도 등 중요 해역 관리 및 돌발사건 처리에도 투입될 예정이다. 어정 310호엔 Z-9A형 헬기 2대가 탑재되고, 수상광대역 위성 통신시설과 광전자 추적 시스템 등 첨단장비가 갖춰져 있다. 60일간 항해가 가능하며 중국 어업지도선 중 최고속도인 22노트 항해가 가능하다고 중국 농업부가 설명했다.

일본 정부도 연내 확정할 신방위계획대강(新防衛計劃大綱)에 센카쿠열도 등의 ‘도서(島嶼) 방위 강화’를 명기해 중국과의 영토분쟁 위협에 적극 대응키로 했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 신문이 이날 보도했다.

신방위대강은 중국의 해양 진출과 북한의 핵, 미사일 개발 위협 등에 대한 대응이 뼈대가 된다고 이 신문은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신방위대강을 토대로 내년 봄엔 1997년 결정했던 ‘미·일 방위협력을 위한 지침’(가이드라인)도 개정할 방침이다.

일본은 또 센카쿠열도에서 중국 해군을 감시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약 200명 병력의 ‘연안감시대’를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부대는 대만 인근 해상의 요나구니(與那國) 섬에 주둔, 주로 중국 해군 활동을 레이더로 감시하는 임무를 맡게 된다.

일본은 또 중국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기 위해 향후 5년간 해상자위대의 신형초계기 P1 10대를 배치하기로 하고 다음 달 확정하는 ‘중기 방위력정비계획’에 이를 포함하기로 했다고 마이니치 신문이 전했다. P1은 10시간 이상 초계가 가능하고, 고공비행으로 기상조건에 좌우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베이징=오종석 특파원 js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