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1공장 가동 중단… 울산공장 비정규직 노조 전면파업

입력 2010-11-17 00:42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비정규직 노조가 전면 파업에 돌입, 소형차를 생산하는 1공장에서 점거 농성중이다. 비정규직 노조가 파업에 나선 것은 2006년 생산타격을 입혔던 부분파업 이후 4년 만이다.

16일 현대차 등에 따르면 현대차 울산공장 비정규직노조는 지난 15일 야간근무를 시작으로 이날 주간 근무조까지 파업에 돌입했다.

이번 파업에는 1600여명의 노조원이 참가하면서 ‘베르나’와 ‘클릭’, 신형 ‘액센트’ 등 소형차를 생산하는 1공장 생산라인이 가동 중단됐다. 1공장을 제외한 다른 곳에서는 대체인력을 투입해 작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됐다.

현대차는 이날까지 차량 2365대를 생산하지 못해 모두 202억원 상당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비정규직 노조는 회사측이 정규직 전환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파업을 계속한다는 입장이어서 피해규모는 더 커질 전망이다. 노조원 600∼700명은 1공장 차량 도어 탈부착 생산라인을 점거한 상태다. 이 공정이 정상가동하지 않으면 모든 생산라인이 멈추게 된다.

이번 파업은 지난 7월 대법원이 2년 이상 근무한 사내하청업체 근로자는 정규직으로 봐야 한다는 취지로 파기환송한 재판 결과가 나온 것이 발단이 됐다. 서울고법에서 아직 파기환송심이 진행 중이지만 노조는 대법원의 판결에 따라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조는 지난 9월부터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위한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을 원청업체인 현대차에 요구해왔지만 교섭이 이뤄지지 않자 파업 찬반투표를 벌이는 등 투쟁 수순을 밟아왔다.

한편 중앙노동위원회는 이번 노조의 파업을 불법으로 규정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비정규직 노조가 교섭대상이 아니어서 임·단협에 나서지 않은 만큼 이번 파업을 불법으로 보고 법적 대응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울산지방경찰청 수사과는 전날 집회 중에 불법행위를 한 혐의로 연행된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노조 대표 전모(30)씨 등 조합원 48명을 불구속 입건하기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경찰은 전날 오전 49명을 긴급체포했으나 1명에 대해서는 무혐의가 밝혀져 석방했다고 전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