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실의궤 등 日 수탈 도서 1205권 6개월내 국내에 돌아온다
입력 2010-11-14 18:17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마에하라 세이지(前原誠司) 외무상은 14일 요코하마 인터컨티넨털 호텔에서 열린 이명박 대통령과 간 나오토(菅直人)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에서 ‘일본이 한반도에서 유래(수탈)한 도서 150종, 1205권을 인도(반환)한다’는 내용의 협정문에 공식 서명했다.
일본 정부는 협정 발효 후 6개월 내에 도서를 우리 측에 반환키로 했다. 일본은 빠른 시일 내에 협정문을 임시국회에 상정해 비준을 받는다는 방침이다. 따라서 이르면 내년 상반기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이 수탈해 간 조선왕실의궤 등 문화재급 도서들이 반환될 예정이지만, 자민당을 비롯한 일부 야당이 다소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어 실제 반환 시기는 유동적이다.
이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이번 도서 반환이 한·일 관계에 획기적 변화의 시발점이 된다는 것을 인정한다”며 “간 총리와 일본 내각의 노력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간 총리는 “일·한 도서협정 서명식을 통해 앞으로 미래지향적인 관계를 펼쳐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국회 동의를 얻어 가까운 시일 내 도서가 전해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두 정상은 사실상 중단된 한·일 ‘셔틀외교’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데 합의했으며, 간 총리의 ‘8·10 담화’에서 언급된 사할린 한인 지원과 유골 봉환 문제 등이 진전되도록 노력키로 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발행된 일본 아사히신문 인터뷰에서 남북정상회담 성사 조건과 관련, “한반도 평화를 유지하고 북한의 비핵화라고 하는 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언제라도 정상회담이 가능하다고 취임 이래 일관되게 언급해 왔다”면서도 “(그러나) 국내 정치적 목적으로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6자회담 재개에 대해 “북한은 핵을 완전히 포기한다는 의지를 갖는다는 전제로 회담에 임해야 한다”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또 “북한이 3대 세습을 했다고 해서 곧바로 위험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며 “(한·미·일은) 한반도와 동아시아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예전보다 더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