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 원전 수주 막판 진통… 전력판매가격 이견 커 정상회담선 일단 무산
입력 2010-11-14 18:39
우리나라의 터키 원자력발전소 수주 프로젝트가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그간 진행해온 터키 원전에 관한 정부 간 협약(IGA) 체결 협상을 계속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지경부에 따르면 서울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와 연계해 지난 13일 이뤄진 한·터키 정상회담에서 IGA 체결이 기대됐지만 서로 합의점을 찾지 못해 무산됐다. 양국 정부 간 IGA에는 한전의 원전 사업권 확보와 전력판매가격, 원전 건설 재원조달 및 전력 구매비 지급보증 등 터키 정부의 지원 내용이 담길 예정이었다.
이 중 핵심 쟁점은 전력판매가격이다. 문재도 지경부 자원개발원자력정책관은 “터키 원전사업은 우리나라가 터키에 원전을 지어주고 전력 판매에 따른 수입으로 투자 자금을 회수하는 것”이라며 “전력판매 수익보장에 대한 이견이 가장 크다”고 설명했다. 즉 터키 측은 되도록 싼 가격에 전기를 공급받으려고 하는 반면, 한국은 적정한 가격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에 대한 터키 정부의 지급 보증을 요구하고 있다. 양측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것이다.
앞서 최경환 지경부 장관과 박영준 제2차관은 최근 잇따라 터키를 방문, 쟁점사안을 두고 의견을 좁혀 왔다. 지경부 실무팀도 장기간 터키에 머물며 3차례에 걸쳐 줄다리기 협상을 해 왔다. 하지만 양국 정상회담에서 IGA 체결이 무산된 만큼 모두 실패한 셈이다.
특히 국회동의에 준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는 IGA의 특성상 한국 정부로서는 ‘헐값 수주’ 등 논란에 휘말릴 수 있는 만큼 협상에 신중을 기하는 분위기다. 지경부 관계자는 “터키 측이 우리의 제안에 대해 추가 검토한 뒤 논의하기를 희망하고 있다”면서 “가급적 빠른 시일 내 협상을 재개해 결론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터키 원전은 2019년 가동을 목표로 흑해 연안 시놉 지역에 140만㎾ 규모의 한국형 원전(APR1400) 4기를 건설하는 것이다. 총 발전용량은 540만㎾로 지난해 말 아랍에미리트연합(UAE)에 수출한 원전과 같은 규모다. 당시 UAE 원전은 건설비용만 200억 달러로 추산됐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