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이후 다시 칼날 가는 檢… 무뎌질까 강해질까
입력 2010-11-14 00:31
국가 주요행사인 서울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고려해 수사 속도조절에 나섰던 검찰이 다시 칼날을 다듬고 있다. 검찰은 G20 변수가 사라진 만큼 좌고우면 없이 법과 원칙에 따라 철저히 수사한다는 입장이다.
서울북부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김태철)는 지난달 구속한 전국청원경찰친목협의회(청목회) 회장 최모씨와 사무국장 양모씨 등 3명을 이번 주 기소하는 것을 시작으로 다시 의원실 관계자 소환에 나선다. 검찰은 최씨 등에게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적용하겠지만 수사 진행상황에 따라 뇌물죄를 적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검찰은 청목회 간부들의 증언과 회계 자료 등을 바탕으로 소환을 거부하는 의원실 관계자의 혐의를 확정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민주당이 사실상 당론으로 검찰 소환에 불응키로 함에 따라 검찰의 청목회 수사는 정치권과의 치열한 신경전이 예상된다.
반면 이번 주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됐던 C&그룹의 정·관계 로비 의혹 수사는 정치인 등 관련자 소환 시점이 다소 늦춰지는 분위기다. 대검찰청 관계자는 14일 “수사가 진행될수록 (임병석 회장의) 새로운 범죄 혐의가 확인되고 있다”며 “아직까진 C&그룹 내부 비리에 집중할 때”라고 말했다. 검찰은 그룹 내 위법 혐의가 포착될 때마다 계열사의 말단 직원부터 최고위직까지 연루 여부를 낱낱이 조사하고 있다. 계열사를 41개까지 뒀던 C&그룹의 덩치와 역사를 감안하면, 임 회장의 횡령·배임 등 그룹 내부의 위법행위 전모를 밝혀내는 1단계 수사에만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현재 검찰이 로비 의혹 수사가 전면에 부각되는 것을 부담스러워하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 검찰은 구속 수감된 임 회장을 상대로 정·관계 로비 의혹을 추궁하고 있지만, 임 회장은 사실무근이라며 강력히 부인해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C& 수사가 예상외로 장기화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서울서부지검 형사5부(부장검사 이원곤)는 한화·태광 그룹 비자금 수사와 관련, 비자금 규모 파악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두 대기업의 비자금 운용이 계열사 내부거래 등을 통해 거미줄처럼 얽혀 있어 비자금 실체 파악에는 여전히 난항을 겪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태광그룹의 경우 수사가 올해를 넘길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서울서부지검 관계자는 수사가 지지부진한 것 아니냐는 일부 지적에 대해 “통상 기업 수사는 3~4개월을 넘기는 경우가 많은데 한화는 수사가 시작된 지 2개월, 태광은 1개월 정도밖에 안 됐다”고 말했다.
이용훈 김정현 박지훈 기자 co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