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10월 소비자물가 4.4% ↑… 인플레 가시화
입력 2010-11-11 18:45
중국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4%대를 돌파, 인플레이션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추가 금리인상 등 중국 당국의 본격적인 출구전략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0월 CPI 상승률이 지난해 동월 대비 4.4% 상승했다고 11일 발표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시작되던 2008년 9월(4.6%) 이후 25개월 만의 최고치다.
중국의 CPI 상승률은 6월 2.9%, 7월 3.3%, 8월 3.5%, 9월 3.6% 등 계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1∼10월 CPI도 작년 동기보다 3% 상승해 중국 정부가 연초에 설정한 물가상승 한계치에 도달했다. 특히 식품가격이 10.1% 폭등하며 전반적인 물가상승을 견인했다.
10월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지난해 동기 대비 5.0% 상승, 전달에 비해 상승폭이 0.7% 포인트 증가했다. 1∼10월 PPI 상승률은 5.5%로 기록됐다.
이런 상황에서 6000억 달러에 달하는 미국의 2차 양적완화 조치로 유동성이 확대돼 CPI의 상승추세가 쉽게 꺾이지 않을 거란 전망이다. 성라이윈(盛來運)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물가상승 압력이 계속 커지고 있다”며 “특히 해외의 새로운 유동성 확대정책은 우리 경제에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일 것”이라고 우려했다.
따라서 중국이 지급준비율 인상, 공개시장 조작, 기준금리 인상 등을 통해 본격적인 출구전략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지난달 20일 예금 및 대출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한 데 이어 10일 시중은행의 지준율을 0.5% 포인트 높인 건 이 같은 상황을 반영한 선제적 조치로 풀이된다.
하지만 중국의 추가 기준금리 인상은 내외 금리 차이를 이용한 핫머니 유입을 늘릴 수 있어 쉽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유광열 주중 한국대사관 재경관은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면 내외 금리 차이가 확대돼 미국의 양적완화 조치로 풀려진 6000억 달러의 자금이 중국으로 몰려올 수 있다”면서 “금리인상은 인플레이션의 악순환을 가져올 수 있어 다른 유동성 억제방안을 찾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베이징=오종석 특파원 js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