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지자체, 주민등록 말소자 정리후 “시책 성과로 인구증가”

입력 2010-11-10 18:10

전북지역 지방자치단체들이 도내 인구가 28년만에 1만명 이상 늘어나 인구유입정책이 성과를 거뒀다고 호들갑을 떨었으나 대부분 주민등록 말소자를 정리한 결과인 것으로 알려져 씁쓸함을 던져주고 있다.

10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도내 인구는 186만 8661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만4424명 늘었다. 전북 인구는 1966년 252만명을 정점으로 하락세가 이어져 온 상태여서 이 같은 증가치는 매우 이례적인 현상으로 받아들여졌다.

이에 여러 시·군은 각각 보도자료를 내고 “인구 증가를 위한 다양한 시책이 성과를 내고 있다”고 자화자찬했다. 익산시는 “관계 기관을 대상으로 전입을 안내하고 기업유치를 강화하는 등 장·단기 대책을 세운 것이 효과를 거뒀다”고 평가했고, 인구 6만명을 회복한 부안군은 “적극적인 인구 늘리기 정책의 결과”라며 한껏 고무된 분위기였다.

그러나 이는 최근 한 달 사이에 나타난 일종의 착시현상이며 자치단체들이 이를 알면서도 홍보에만 열을 올린 것으로 드러났다. 실상은 정부 방침에 따라 지난 한 달간 주민등록 말소자들을 대대적으로 부활시킨 결과일 뿐이고, 1년새 자연 증가분은 2000명에 불과하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전주시의 경우 지난달 증가자 3200여명 가운데 거주불명 등록자로 전환된 사람이 90%가 넘는다. 한 달새 2033명이 증가했다고 발표한 익산시에서는 1년 전에 비해 오히려 90명이 감소했다. 김제시에서도 지난달에만 750명이 급증했다고 밝혔으나 실제로는 1년 전과 비교해 211명이 줄었다.

전북도 관계자는 “최근 일부 기업 유치로 인구 감소세가 7년 만에 증가세로 바뀐 것은 사실이나 지난달 늘어난 1만2000여명의 대부분은 주민등록 말소자를 부활시킨 결과”라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