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G20 정상회의] 세계가 주목… 서울의 아침이 밝았다
입력 2010-11-11 02:07
서울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1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공식적으로 시작된다. G20 정상들은 이날부터 이틀간 ‘위기를 넘어 다함께 성장’이라는 주제 아래 글로벌 환율 전쟁 종식 해법, 글로벌 금융 안전망 확립 등을 논의한 뒤 ‘서울선언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서울선언문에는 세계 경제의 지속성장을 위한 강력한 반부패 척결 방안이 포함될 전망이다. 하지만 환율 갈등의 해법으로 미국이 제시한 경상수지 목표제(경상수지 흑·적자 폭을 국내총생산의 일정 비율로 제한)는 사실상 논의에서 제외된 것으로 확인됐다.
G20 정상들이 최종 합의한 서울선언문은 G20 정상회의 의장인 이명박 대통령이 12일 오후 4시 발표한다. G20 재무차관과 셰르파(사전 교섭대표)는 10일 코엑스에서 사흘째 서울선언문을 사전 조율하기 위한 회의를 진행했다. 이들은 이날 격론 끝에 의견 접근이 힘든 경상수지 목표제 논의를 사실상 접고, 글로벌 무역 불균형을 줄이는 대안 찾기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회의에 참석한 한 교섭대표는 본보 기자와 만나 “경상수지 목표제는 더 이상 얘기하지 않기로 했다”며 “(환율갈등 해소 대안으로) 좀더 절차적인 접근법(procedural approach)에 대해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절차적인 접근법이란 경상수지 흐름을 보고 과도한 흑자를 내는 나라에 제한을 가하는 직접적인 방식 대신 국제통화기금(IMF)이 G20 회원국의 거시정책 관련 보고서 등을 통해 경고하는 구속력이 약한 방법을 말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환율 문제 해법을 제외한 금융 규제 개혁, 글로벌 금융 안전망, 개발 이슈 등 사안은 대부분 합의에 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별도로 G20 정상들은 이번 회의에서 반부패와 관련해 워킹그룹으로부터 추진 현황을 보고받고 뇌물 방지 규정 채택 및 집행을 서울선언문을 통해 권고할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는 공공 및 민간 분야의 반부패 노력, 부패 인물의 국제금융 시스템에 대한 접근 차단, 비자 거부·송환·자산 회복과 관련된 협력 등이 포함될 전망이다.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 120명이 모이는 ‘서울 G20 비즈니스 서밋’도 이날 막을 올렸다. 참석자들은 무역투자와 금융, 녹색성장, 기업의 사회적 책임 등에 대해 세 차례 논의하게 된다. 비즈니스 서밋에서 도출된 결과물은 G20 정상회의에 전달돼 서울선언문에 반영될 예정이다.
이성규 정동권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