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거환경 수준 지역별로 수치화

입력 2010-11-09 22:40

서울 강남·북간 생활격차를 줄이고 친환경 및 문화 도시를 건설하는 것을 골자로 한 건축 정책이 마련됐다.

9일 ‘서울시 건축기본계획’에 따르면 시는 지역별 주거환경 평가지수를 2014년까지 개발해 이를 토대로 한 주거환경기준을 2015년에 마련할 계획이다. 주거환경 평가지수는 지역별로 교통 치안 복지 위생 등을 평가하는 기준이다. 평가 항목에는 안전성 교통편의 쾌적성 주민만족도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시는 평가지수를 토대로 각 지역의 주거 환경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도록 주거 정책을 펴기로 했다.

이와 함께 시는 지속가능한 건축물 관리를 목표로 세우고 낡은 건축물에 대한 리모델링을 활성화 할 방침이다. 건축물을 기획·설계, 시공, 유지관리, 철거 등 4단계로 구분해 통합 관리하고 이를 전담할 조직도 신설한다.

우선 공공건축물에 대해 재건축 대신 리모델링을 하도록 하고 노후 아파트 등을 리모델링 할 경우에는 증축 허용 범위를 늘려줄 예정이다. 기존 도시특성을 유지해야 하는 지역에 대해 ‘리모델링 진흥특구’로 지정, 리모델링 비용 일부를 지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탄소저감형 녹색도시 조성, 건축물 에너지 관리 체계도 마련할 계획이다. 시는 또 시내 전체 한옥 현황을 조사해 역사·문화적 가치가 있는 한옥단지가 재개발로 철거되지 않도록 관리할 예정이다. 한옥이 일괄적인 모습으로 변하지 않도록 한옥 수선 지침도 개선하며 한옥지원센터를 세워 한옥 설계와 시공 등도 돕기로 했다.

문학작품에 등장하는 시내 명소나 탐방로, 특색 있는 축제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해 문화 산업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김경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