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포폰’ 처리 큰 시각차… 野 “국정조사 후 미진하면 특검까지”

입력 2010-11-10 00:42

여야가 9일 국회 정상화에 합의했지만 여전히 불씨는 남아 있다. 청와대의 총리실 대포폰 지급과 민간인 불법사찰 문제 처리 방안에 대해 여야의 이견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번 합의 이면에 청와대의 대포폰 지급 의혹에 대한 국정조사 문제를 추후 별건으로 논의할 수 있다는 여야 원내대표단의 공감대가 있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특히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는 회동에서 “야당이 지난번 스폰서 검사 문제는 특검까지 하지 않았느냐”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발언에 대해 민주당 측은 여당이 민간인 사찰 의혹 관련 국정조사나 특검 문제를 논의할 수 있는 여지를 밝힌 것으로 기존 입장보다 진전된 입장으로 해석하고 있다.

박기춘 원내수석부대표도 라디오 인터뷰에서 “야당 의원 112명이 8일 국정조사 요구서를 접수했고, 국정조사가 미진하면 특검으로 간다는 것까지 합의했다”며 “국민적 여론이 함께할 수 있는 만큼 여당도 피해갈 수 없다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국정조사는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야당의 국정조사 요구는 정치적 공세라는 것이다. 안상수 대표는 “재판 중인 사안에 대해 국정조사를 요구하는 건 이치에 맞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여권 내부에서도 청목회 등 다른 검찰 수사의 정당성을 국민들이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어떤 식으로든 대포폰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는 기류가 읽힌다. 그 방법으로는 검찰의 재수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물론 재수사 여론은 야5당이 ‘대포폰’과 ‘스폰서·그랜저 검사’ 등 검찰 관련 수사에 국정조사 요구서를 제출한 것에 대한 방어용 성격도 있다.

홍준표 최고위원은 “검찰에서 재수사를 하는 게 실체적 진실을 밝히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정옥임 원내공보부대표는 “일부 최고위원이나 젊은 의원들이 재수사를 주장하지만 당 내부에서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고 정보가 교환되고 있다는 게 정확한 상황”이라며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한장희 정승훈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