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대포폰 두통’… “G20 이후 논의” 불구 與서도 재수사 목청 커 고심

입력 2010-11-09 18:21

‘대포폰’ 논란과 관련한 청와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야당뿐 아니라 여당 내부에서도 민간인 불법 사찰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 또는 검찰 재수사 목소리가 계속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9일 “서울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이후에 생각해보자”고 말했다. 그러나 G20 정상회의 이후에도 대포폰 문제에 대한 청와대의 입장이 변할 가능성은 현재로선 없어 보인다. 야당의 국정조사 요구를 받아들일 경우 ‘청와대=민간인 불법 사찰 배후’라는 공격이 예상된다. 청와대로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시나리오다. 핵심 관계자는 “일부 인사들(이영호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 등)이 개인적으로 오버한 문제를 갖고, 청와대가 민간인 불법사찰을 했다는 식으로 공격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며 “현재 거론되는 의혹들은 다 수사한 내용이고 사법 처리할 사항은 아니라는 게 검찰의 입장으로 안다”고 말했다.하지만 청와대를 곤혹스럽게 하는 것은 대포폰 문제가 검찰의 국회의원 사무실 압수수색 후폭풍 등과 맞물리면서 해법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일단 청와대는 한나라당의 ‘협조’를 최대한 요청한다는 방침이나, 여당 기류도 호의적이지 않다. 여권 관계자는 “결국 이명박 대통령이 G20 정상회의가 끝난 이후 이 문제를 풀어야 하는데, 지금까지는 뾰족한 수가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